워드프레스 댓글에 답글 작성 알림 메일 보내는 방법

독립된 서버에 설치된 워드프레스 블로그로 티스토리 블로그를 이사한 뒤 받는 느낌 중 하나는 작은 쪽배 하나 타고 이리 저리 망망대해를 떠돌고 있다는 느낌이다.  네이버나 티스티로에 블로그를 운영할 때는 네이버 회원이나 카카오 티스토리의 회원들이 블로그에 댓글을 달 경우 자기가 단 댓글에 답글이 달렸는지를 포털에 로그인하면 쉽게 알 수 있지만 독립 서버에서 설치된 이름모를 도메인 주소의 블로그에 댓글을 달 경우 그 블로그 자체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워드프레스 댓글에 답글이 달렸음을 알려주는 방법

독립서버에 설치된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누군가 댓글을 작성한 다음 그 댓글에 답글(일명 대댓글)이 달렸음을 알려줄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이메일로 알려주는 방법이다.

물론 이용자가 블로그의 포스트에 댓글을 달 때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야만 가능하긴 하지만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다.

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워드프레스 기본 모듈에 암호화 메일 발송을 지원하는 플러그인과 댓글에 답글을 작성할 때 발생되는 워드프레스의 이벤트를 후킹하여 댓글 작성자의 이메일 주소로 답글 알림 메일을 발송하는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외부에서 접속하여 메일 발송이 가능한 메일서버도 필요하다.

지금부터 그 과정을 설명한다. 초보자라면 정신줄 똑바로 잡고 따라오길 바란다.

1. 워드프레스 메일 발송 기능 대체 플러그인 설치

워드프레스 기본모듈에도 메일 발송 기능이 있지만 암호화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기본 POP/SMTP로만 발송 가능한 모듈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요즘 사용되는 대부분의 포털 메일과 메일서버는 보안 문제로 인해 암호화 통신 및 인증을 지원하는 메일서버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별도의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한다.

이 포스트에서는 WP Mail SMTP 라는 플러그인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워드프레스의 관리자 페이지에서 플러그인을 추가하여 설치한다. 키워드로 wp mail smtp를 입력하여 검색하고 “지금 설치”를 눌러 설치를 진행하면 된다.

2. WP 메일 SMTP 설정 마법사

설치가 완료된 후 자동으로 시작되는 설정 마법사 또는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 있는 “WP 메일 SMTP” 에서 설정 마법사를 찾아 실행해도 된다.

WP Mail SMTP 설정 마법사 시작
WP Mail SMTP 설정 마법사 시작

1단계는 메일서버를 선택하는 것이다. 추천 메일러 또는 구글 GMail이나 MS 365 계정이 있다면 선택해도 된다. 설정을 자동으로 해주니 편할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tae***@blogger.pe.kr 라는 개인 소유의 도메인 메일주소를 다음(현 카카오) 메일의 스마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가장 하단에 있는 기타 SMTP 를 선택했다. 네이버 등 기타 국내 메일 서비스도 기타 SMTP를 선택해야 한다.

기타 SMTP를 선택하면 이제 이메일 계정이 있는 메일서버의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네이버나 카카오 또는 네이트 등의 메일 포털을 사용한다면 이메일의 설정 메뉴를 찾아가 IMAP/SMTP 서버 설정 정보를 찾으면 된다.

다음은

다음(현 카카오) 스마트워크의 경우…

“SMTP 호스트”에는 smtp.daum.net”을 입력하고

“암호화 옵션”은 “SSL”을 선택하고

“SMTP 포트”는 465를 입력해야 한다.

위의 세 항목을 포함하여 다음에 나올 SMTP 사용자 계정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은 어떤 메일서버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네이버의 메일서버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네이버 계정으로 네이버 메일에 로그인한 다음 관련 환경설정 항목에 가면 확인할 수 있다. POP3/SMTP를 사용하는지 IMAP/SMTP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관련 페이지는 여기를 가보기 바란다.

다음은 메일을 발송하기 위해 SMTP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인증을 설정해줘야 한다. 최근에는 보안 문제로 인해 이메일 접속 시 인증과 암호화 통신을 반드시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SMTP 사용자 이름”은 메일서버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계정(ID)이다. 만약 네이버 메일을 사용한다면 네이버ID가 되겠다.

“SMTP 비밀번호”는 ID의 비밀번호다.

“발신인명” 메일을 보내는 사람 또는 블로그의 이름이라고 보면 된다. 메일서버의 인증과는 무관한 이름이다.

“발신 이메일”은 메일을 보내는 사람의 실제 이메일 주소다. 만약 네이버 메일서버를 사용한다면 네이버 메일주소이어야 한다.

이제 거의 완료되었다. 다음은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보여준다. 무료 버전을 사용할 것이므로 일부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다음은 메일 발송 메일주소가 아닌 이 플러그인을 만든 벤더에게 알려줄 이메일 주소를 넣는다.

다음은 프로 버전을 구입했을 경우 입력하는 라이선스다. 그냥 넘어간다.

설치 및 설정이 완료되었다.

3. 메일 발송 테스트

WP Mail SMTP 플러그인의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메일 발송 테스트를 해볼 수 있다.

위 화면처럼 워드프레스 관리 콘솔에서 “WP 메일 SMTP” 메뉴에 간 다음 “테스트 이메일 보내기”에서 메일을 보내고자 하는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발송”을 누른다.

정상적으로 메일이 보내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인다. 만약 포털의 메일을 사용했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별도의 독립 도메인을 적용했다면 SPF와 DMARC 항목에서 경고메시지가 뜰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메일이 수신됨을 확인해야 한다.

4. SPF 레코드 등록

만약 앞의 단계에서 SPF 항목에 경고 표시가 뜬다면 포털 메일이 아닌 개인 도메인 주소를 발신자로 설정하는 경우에 해당할 것이다. SPF가 무엇인지를 찾아보면 네이버 라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SPF(Sender Policy Framework)는 일종의 메일 발송 서버 등록 제도로 해당 도메인을 통해 이메일을 보낼 수 있도록 허용된 IP 주소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SPF 레코드에 등록되지 않은 IP 주소에서 보낸 메일을 스팸메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즉 DNS서버에 메일서버임을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이 블로그의 도메인 주소인 blogger.pe.kr 은 Gabia의 DNS 서버에 TXT 레코드를 다음과 같이 등록하여 메일 서버임을 밝혀두고 있다.

이렇게 SPF 레코드를 등록하면 SPF 항목에 경고 표시가 사라진다. SPF 또는 DMARC 하나만 등록해도 메일을 발송하는데 문제는 없다.

5. 댓글에 응답 댓글 등록될 때 메일로 알려주는 플러그인 설치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플러그인은 몇 개가 있는데.. 필자는 Comment Reply Email Notification 플러그인을 설치했다. 설치 수를 봐도 가장 많은 설치기록을 보유한 플러그인이다.

Comment Reply Email Notification 플러그인 설치WP Mail SMTP 플러그인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한다. 설치하고 활성화하면 다음과 같이 간단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설정까지 모두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면..

이제 댓글에 답글이 달리고 승인이 되면 다음과 같이 댓글을 작성한 사람에게 답글이 작성되었음을 이메일로 알려준다.

#워드프레스 #대댓글 #답글 #알림메일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