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7.9 네트워크 설정 (Static IP 설정)
- 운영체제
- 2023. 2. 16.
이런저런 테스트 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VMWare ESXi를 6.7에서 8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한 뒤 pfSense에 UI를 입혔다는 오픈소스 방화벽 OPNsense를 가상머신으로 올려 테스트를 진행했다.
OPNsense의 LAN 인터페이스에 연결해 내부망으로 사용하기 위한 표준 가상스위치와 포트그룹을 생성한 뒤 OPNsense를 설치하는 가상머신에 네트워크 어댑터 두개를 생성해 WAN 인터페이스는 VM Nework 1에 연결하고 LAN 인터페이스는 새로 생성한 가상스위치를 연결하고 설치를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OPNsense가 설치되고 정상동작하는 것 까지 확인했지만 구동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십중팔구 GUI(웹)에서 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를 비롯해 이런 저런 에러를 뿜어내면서 관리콘솔이 사용 불가한 수준으로 상태가 나빠진다.
테스트 환경인지라 CPU 사용율이 높지도 메모리나 스왑영역이 부족한 것도 아닌데 에러가 뿜뿜이다. 디스크 관련 드라이버나 파일시스템 접근과 관련된 API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듯 하다.
어찌됐든 새롭게 만든 가상스위치에 LAN 인터페이스에 부여한 IP 대역의 가상머신을 만든 다음 방화벽 외부의 서버와 통신이 OPNsense 방화벽에 의해 통제되는 것 까지 확인했다. 하지만 OPNsense가 설치된 가상머신 상태가 그리 좋지 않아 테스트는 중지했다. (추후 다시해볼 예정)
그 과정에서 CentOS 7.9를 설치하는데 급하게 설치해선지 설치단계의 GUI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빼먹는 참사(?)가 벌어졌다.
이런 경우 수동으로 IP를 설정해줘야 하는데... 이런저런 파일들의 작성과 수정이 번거로워 GUI를 통해 쉽게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nmcli 명령으로 인터페이스 확인
CentOS 리눅스 설치 시 최소설치 옵션으로 설치할 경우 ifconfig와 같은 기본적인 명령어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nmcli 라는 명령어를 제공한다.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yum install net-utils 명령으로 ifconfig 명령이 포함된 패키지를 설치할 수는 있다. )
구체적인 정보는 nmcli device show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부터 이더넷 디바이스의 이름과 MAC Address 그리고 현재 상태 (disconnected) 등 정보를 보여준다. 당연히 IP주소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하단의 loopback 인터페이스와 달리 IP주소와 GATEWAY 주소 등은 표시되지 않는다.
하지만 위 상태처럼 네트워크 카드(이더넷 카드) 정보가 보인다면 다음의 nmtui 명령을 실행하여 IP주소를 설정하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당연하겠지만 root 권한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nmtui 명령이 실행되면 아래 화면처럼 구식, 텍스트 기반의 메뉴 화면이 실행된다.
가장 위 메뉴인 "Edit a connection" 을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앞에서 nmcli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이더넷 디바이스의 이름이 보인다. (여기서는 ens192이나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이더넷 카드의 이름을 선택한 뒤 커서키 또는 탭키를 이용해 오른쪽의 <Edit...> 메뉴로 이동한 다음 엔터키를 누른다.
마찬가지로 커서키 또는 탭키를 이용해 IPv4 CONFIGURATION <Automatic> 라인 오른쪽의 <Show>로 이동한 뒤 엔터를 누른다.
그러면 아래로 IP Address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펼쳐진다.
이 화면이 보인다면 Addresses 항목에 지정할 IP 주소를 입력하고 Gateway 주소와 DNS 서버 주소를 차례대로 입력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탭키나 커서키를 이용해 화면 아래의 "Automatically connect"에 체크를 한 뒤 <OK>로 이동해 엔터키를 누른다.
다음은 설정한 이더넷 카드를 네트워크에 연결해준다. "Activate a connection"을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마찬가지로 이더넷 카드의 이름을 엔터키로 선택하여 * 표시가 보이게 한 다음 <back> 으로 이동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마지막으로 서버의 호스트네임을 설정한다. "Set system hostname"을 선택하고 엔터키로 진입한다.
호스트네임을 입력한 다음 <OK>로 이동해 엔터키를 누른다.
그리고 nmtui 를 종료한다.
ifconfig -a 명령을 실행해보면 아래 화면처럼 IP 주소 (inet)이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버그인지 1.10 을 입력했는데 1.100 으로 입력이 되어 있다. 다시 nmtui로 들어가 확인해봐도 1.10 으로 잘 들어가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1.100으로 설정이 되어 있다.
개발자들이여.... 이런 버그는... 인간적으로 만들지 말자.
#nmtui #centos_ip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