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년 전 Windows Mobile 천하였던 스마트폰 시장에 Windows Mobile을 몰아내려는 듯 등장한 아이폰과 갤럭시S… 하지만 그 이후 기기 자체의 성능은 향상되었으나 획기적인 혁신은 없었다. 때문에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피로도가 쌓여 새로운 제품이 출시 되어도 예전만큼의 파괴력을 보이지는 못하고 있다.
내가 기다리는 제품은 두가지 였다. 첫번째가 갤럭시 노트와 옵티머스 뷰 시리즈에 장착된 펜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것과 휴대성에서 가장 강점을 가진 7인치 태블릿에서 A4사이즈의 파워포인트와 PDF를 가독성 높게 보여주는 고해상도 LCD다.
최근(2013년10월 초) 갤럭시 노트3의 펜 성능이 많이 좋아졌다는 소식과 아이패드 미니보다 훨씬 고해상도의 LCD를 장착한 넥서스7 2세대가 출시되었다는 소식은 둘중 하나를 지르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하지만… 휴대폰은 내돈주고 사지않는다는 습관(?)으로 인해 갤럭시 노트3는 차후에 써보기로 하고 얼마 남지 않은 생일 선물로 와이프에게 넥서스7 2세대를 선물로 받았다. 고마운 아내~~ ^^
바로 이놈이다.
쫌 허술한 포장을 열면 넥서스7 로고가 박힌 비닐포장에 살포시 쌓여있는 물건(?)을 꺼낼 수 있다.
음…넥서스7 2세대를 아수스(ASUS)가 만들었구나…. 아수스 노트북은 별로라던데… 패드는 괜찮으려나 걱정이 된다.
처음 전원을 켜면 언어를 선택하라고 뜨고 다음엔 와이파이… 다음은 구글계정 등을 입력해야 한다. 플레이스토어를 써야하므로 어쩔 수 없이 구글 계정은 안쓸 수가 없네…
전원이 모두 켜진 상태다. 해상도…과연…풀HD다.. 7인치에 Full HD라니…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480*640의 HP PDA에 감개무량하던 시절이 엊그제 같은데…
충전 어댑터다. 충전기는 일반 스마트폰 충전기(5PIN)를 써도 되는데.. 정품 충전기의 충전 전압은 일반 스마트폰처럼 5 V로 충분하겠으나 전류는 조금 부족할 것 같다. 충전 전류가 1.35A다.
전압과 전류의 차이를 잘 아는 분들은 알아서 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을 위해 설명하면 …
전압은 수돗물의 수압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전류는 수도파이프의 굵기라고 보면 된다. 같은 수압이라도 수도파이프의 굵기가 굵으면 같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물을 받을 수 있다. 즉 전압은 같으나 전류량이 부족하면 충전이 안될수도 있고 충전이 되더라도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구글 Nexus 7 2세대 상세 스펙
크기 |
114 X 200 X 8.65 mm
290g (Wifi버전), 299g (LTE버전) |
크기와 두께 그리고 무게다. LCD의 위, 아래의 공간이 조금 넓다. 처음 볼 땐 어색했는데..몇번 보니..그새 적응이 된다. 무게는 정말 가볍다.
액정 |
7.02 인치
1920 * 1200 Full HD (323 PPI) 스크래치 방지 코닝 액정 |
넥서스7 2세대의 LCD는 IPS LCD다. 제조사는 소니로 알려져 있다. PPT A4사이즈와 PDF A4사이즈를 뷰어에서 봤을 때 글자가 조금 작기는 하나 충분히 읽을만한 수준이다. 지하철이나 회의 때 노트북을 들고 들어가서 자료를 보지 않아도 될 듯 하다. 여기에 펜만 추가되었다면 얼마나 좋을까 싶다.
카메라 |
120만 화소 전면 카메라
500만 화소 후면 카메라 |
카메라가 안타깝게도 500만 화소다. 최근 타 스마트폰의 카메라들이 1000만화소 이상을 지원하는 것에 비하면 부족하지만 카메라가 주 목적은 아니므로 패쓰~~~~ 용서해준다..
배터리 |
3950 mAh
9시간 지속 사용 무선충전기능 내장 (충전기는 옵션) |
탭이나 패드류에서 정말 중요한 배터리는 무척 대용량이다. 마음에 드는 수준이며 무선 충전기를 구매하면 케이블을 꼽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하다. 충전하면서 OTG를 이용해 외부의 SD메모리나 모니터에 연결할 수 있다.
추가) 넥스서7 2세대의 OTG에 문제가 좀 있습니다. OTG기기를 연결해도 인식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은데 안드로이드의 언어를 영어로 바꾸고 리부팅한 뒤 연결해야 인식이 된다고 합니다. OTG 기기를 사려고 이것 저것 조사하던 과정에서 알게된 문제입니다. 참고해야할 듯 합니다.
스피커 |
스테레오
Fraunhofer의 서라운드 사운드 |
일반적인 스마트폰은 외장 스피커로는 모노 사운드만 지원한다. 탭이나 패드로 가야 스테레오가 지원이 된다. 게다가 넥서스7 2세대는 서라운드도 지원한다. 프라우호퍼는 현존하는 서라운드 및 스테레오 오디오 코덱중에서 음질이 가장 효율적이고 뛰어난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CPU 및 GPU (Graphic Processing Unit) |
CPU : 퀄컴 스냅드래곤 S4 Pro, 1.5 Ghz
GPU : Adreno 320, 400 Mhz |
요즘 말많은 삼성CPU를 사용하지 않았다. 퀄컴이 많이 힘을 내고 있는 모양이다. 모바일CPU 시장에서 인텔이나 삼성이 힘을 못쓰고 있는데.. 그 이유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무선 |
4G LTE버전 및 Wifi 버전
듀얼밴드 와이파이 (2.4 G, 5 G), 802.11 a/b/g/n NFC (Android Beam) 블루투스 4.0 |
아직 LTE 버전은 나와있지 않지만 SKT나 KT 심지어 LG U+의 대역도 지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메모리 (주기억장치) |
2 G Byte |
램은 2G Byte이다. 램은 엘피다의 DDR3L SDRAM 4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저장소 및 외부 저장소 |
내부저장소 : 16 G Byte 버전 또는 32 G Byte 버전
외부저장소 : Micro SD등의 외부 저장소 지원안함 |
32 G Byte의 저장공간은 하이닉스의 eMMC NAND Flash 모듈이다. 외부저장소 카드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16 G 버전을 살치 32 G 버전을 살치 고민스러웠었다. 16 G는 조금 모자랄 듯 하여 32 G 버전을 사야했다.
센서 |
GPS,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나침반, 주변광센서, 자기장인식 |
당연히 GPS와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와 나침반 그리고 주변광량을 측정하는 광센서도 달려있다. 그리고 자석이 달린 스마트커버를 사용할 수 있는 자기장 인식 센서(센서인지는 모르겠지만..) 기능이 있다.
포트 및 커넥터 |
마이크로 USB
SlimPort 3.5m 오디오 마이크 |
마이크로 USB 포트를 기본 지원하고 슬림포트젠더(?)를 사용하면 충전과 HDMI를 통한 디지털TV 연결이 가능하다.
가격은 정가 36만원 정도이나 할인카드 등을 이용하면 30만원 초반대도 가능할 듯 하다.
개봉기와 스펙은 여기까지…
다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