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NAT를 통한 DDNS 사용하기 (LGU+공유기와 IPTIME 공유기 환경)

지금까지 공중파만 나오던 taeho’s 홈에서 드디어 LG U+의 TV G를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옆지기가 즐겨보는 종편의 새로운 포맷의 예능 프로그램들 때문입니다. 스마트폰을 통해 작은 화면으로만 보다 다른 집에서 큰 화면 Full HD로 단 한번 보고서는 “좋네..”를 연발하기에 IP TV를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제가 몇 번이나 스마트폰으로 그렇게 보지 말고 IP TV를 신청하자고 할 땐 꿈쩍도 안하더니 한큰 화면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보고서는 마음이 순식간에 바뀐 듯 합니다.

어쨌든….

지금까지 사용하던 SK브로드밴드의 인터넷과 인터넷전화를 해지하기로 하고 LG U+의 인터넷과 IP TV를 신청하고 설치한 겁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집에서 IPTIME의 DDNS 서비스를 통해 밖에서 접속해 사용하던 NAS (My book live 3TB)를 어찌해야 하나 싶었습니다.

SK브로드밴드의 인터넷과 인터넷전화를 쓸 땐 SK에서 제공하는 공유기와 개인적으로 구입한 공유기를 어떻게 설치하든 관계가 없었지만 IP TV까지 사용하게 되면 안정적인 IP TV 시청을 위해 인터넷 회선을 LG U+에서 제공하는 공유기에 연결해야 하지 않을까 싶었기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IP TV의 쉴새없는 멀티캐스트 스트리밍을 IPTIME의 저렴한 공유기가 안정적으로 버텨낼 수 있을까 의문시되었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기본적인 홈 네트워크 구성입니다.     ( 관련 포스트 : 오래된 아파트의 홈 네트워크 구성사례 (2020.01.22) )

LG U+ 인터넷 / TV G 네트워크 기본 구성

LG U+의 인터넷과 TV G, 인터넷 전화 기본 네트워크 구성

LG U+의 인터넷과 TV G, 인터넷 전화 기본 네트워크 구성

LG U+의 인터넷과 TVG 그리고 인터넷 전화를 신청하면 제공되는 CAPL-6000 공유기에 인터넷 회선을 연결하고 IP TIME의 공유기를 CAPL-6000의 내부망 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할 경우 IPTIME에 연결하는 NAS에 DDN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중 NAT(SuperDMZ)를 설정해야 합니다. 처음엔 CAPL-6000 공유기가 NAT(SuperDMZ)를 지원할지 의심스러웠죠. 만약 된다 할 지라도 한번 SuperDMZ 설정된 공인IP를 한번 더 SuperDMZ 설정이 가능할지 의문스러웠습니다.

그리고 이중 NAT(SuperDMZ)가 안되면 고려해야 하는 방식이 다음과 같이 CAPL-6000과 A2004NS 공유기의 위치를 바꾸는 방식입니다. 전자의 설정이 안될 경우 고려해야할 방식이었습니다.

별도의 공유기로 구성하는 LG U+ 인터넷 및 TV G 네트워크 구성

이중 NAT를 통한 DDNS 사용하기 (LGU+공유기와 IPTIME 공유기 환경)

하지만 이 방식은 IP Multi-casting의 특성과 스트리밍의 부하로 인해 공유기 자체 혹은 무선에 문제가 생긴다는 경우가 많습니다. (2015년 3월 현재 해결여부는 모르겠음.)  그리고 저가형 혹은 보급형 공유기의 경우 그런 문제가 더 많이 생기는 것으로 보입니다.

고민 끝에 일단 CAPL-6000으로 인터넷 회선을 연결하는 전자 방식으로 구성하기로 하고 이중 NAT(SuperDMZ)를 구성해보았습니다.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중 NAT를 통한 DDNS 사용하기 (LGU+공유기와 IPTIME 공유기 환경)

이중 NAT는 먼저 CAPL-6000 공유기에 접속하여 Super DMZ를 구성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이 방식으로 구성이 가능합니다. CAPL-6000 공유기에서 SuperDMZ를 설정하여 공인IP를 IPTIME 공유기에게 할당하게 하고 IPTIME 공유기에서 다시 TwinIP (SuperDMZ와 같은 기능)을 설정하여 My Book Live에게 공인IP가 부여되게 하는 방식입니다.

지금부터 설정 방법을 기록해 둡니다.

CAPL-6000 공유기의 기본 접속 방법

LG U+에서 제공하는 공유기인 CAPL-6000은 최초 설치하면 내부 IP와 비밀번호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웹브라우저로 접속하면 됩니다. 사용자 암호는 변경이 가능합니다.

IP : 192.168.219.1

사용자암호 : admin

이중 NAT를 통한 DDNS 사용하기 (LGU+공유기와 IPTIME 공유기 환경)

이중 NAT의 첫 번째 NAT 설정 – CAPL-6000의 SuperDMZ 설정

기본 구성에서는 CAPL-6000으로 인터넷 회선이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CAPL-6000에 공인IP가 부여됩니다. SuperDMZ는 공유기에 부여되는 공인IP를 CAPL-6000에 연결되는 IPTIME 공유기에 부여하여 공유기가 공인IP로 동작하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때 어느 기기에 공인 IP를 부여할 지를 정하기 위해 MAC 주소를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래서 아래 화면처럼 Super DMZ로 지정할 하드웨어 주소(MAC주소)를 입력하도록 합니다.

이중 NAT를 통한 DDNS 사용하기 (LGU+공유기와 IPTIME 공유기 환경)

위의 그림에서는 IPTIME A2004NS 공유기의 MAC 주소를 입력해준 화면입니다. 이렇게 한 뒤 설정을 저장하고 IPTIME의 A2004NS 공유기를 연결하면 다음과 같이 A2004NS에 외부IP주소로 공인IP를 부여받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에서는 모자이크 처리 되어있습니다.

이중 NAT를 통한 DDNS 사용하기 (LGU+공유기와 IPTIME 공유기 환경)

이중 NAT의 두 번째 NAT 설정 – IPTIME A2004NS의 TwinIP 설정

IPTIME에서는 SupertDMZ를 TwinIP 라는 이름으로 부릅니다. 하지만 기능은 완벽하게 동일한 기능입니다. 아래와 같이 IPTIME 공유기 설정에서 TwinIP를 설정합니다.

이중 NAT를 통한 DDNS 사용하기 (LGU+공유기와 IPTIME 공유기 환경)

기본적으로 SuperDMZ나 TwinIP는 모두 NAT의 기능 중 하나이기 때문에 NAT 관리 메뉴에 들어가면 됩니다. 위 화면처럼 TwinIP를 설정하고 MAC 주소를 입력해 주면 되는데 이때는 NAS인 My Book Live의 MAC 주소를 입력해줍니다.

NAS 장비의 MAC 주소는 다음과 같이 NAS 장비에 Telnet 혹은 SSH 접속하여 ifconfig 명령으로 확인하거나 관리자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은 My Book Live에 ssh 접속 후 ifconfig 명령으로 확인한 MAC 주소입니다.

이중 NAT를 통한 DDNS 사용하기 (LGU+공유기와 IPTIME 공유기 환경)

MAC 주소는 흔히 HWaddr 이라는 항목으로 표시되기도 합니다.

MAC 주소는 16진수 6자리로 표현됩니다. 앞의 세 자리는 제조사 고유번호이고 뒤의 세 자리는 기기의 일련번호 입니다.

위의 화면에서 Inet addr이 NAS인 My Book Live 에 부여된 IP 입니다. 11x로 시작하는 공인 IP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중 NAT가 잘 구현된 것이죠. (당연히 NAS와 IPTIME 공유기에서는 DHCP로 IP를 받아오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설정해주면 이중 NAT에 의한 NAS(My Book Live)의 공인 IP 사용하기가 완료 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