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위치 바꾸기(Google Drive)

구글 드라이브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계정의 홈디렉토리에 생성됩니다. 하지만 이 기본경로는 C:드라이브여서 꽤나 많은 공간을 낭비하게 되죠. 그래서 MicroSD를 노트북에 꼽고 이 MicroSD에 구글드라이브를 생성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구글드라이브는 최초 설치시와 설치되고 구글계정과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동기화 경로를 바꿀 수 있는 환경설정 옵션을 제공해주지 않기 때문에 일단 한번 구글계정과 연결한 이후 계정 연결 해제와 재 연결 과정을 거쳐 드라이브 동기화 폴더를 변경해야 합니다.

그 과정을 지금부터 설명합니다.

먼저 구글드라이브의 동기화를 중지합니다. 다음과 같이 구글드라이브 앱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다음과 같이 팝업메뉴가 실행되죠. 오른쪽 위의 점세개를 클릭합니다.

구글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위치 바꾸기(Google Drive)

아래 화면처럼 환경설정 창이 실행되면 가운데 탭인 “계정” 탭을 선택합니다. “계정” 탭에는 “계정 연결 해제…” 버튼이 보입니다. 클릭하면 연결을 해제하겠냐는 창이 보입니다. “연결 해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글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위치 바꾸기(Google Drive)

아래 화면처럼 연결이 해제되었으며 더 이상 동기화 되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보입니다.

구글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위치 바꾸기(Google Drive)

창을 닫고… 다시 구글 드라이브 앱에서 마우스를 우클릭합니다. 동기화가 중지되고 구글계정 연결이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 처럼 “로그인” 창이 실행됩니다.

구글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위치 바꾸기(Google Drive)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처럼 로그인 창이 뜹니다. 구글 계정을 입력하고…다음 창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합니다.

구글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위치 바꾸기(Google Drive)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다음~다음~버튼을 누르다 보면 아래 화면처럼 “설정이 끝났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멈춥니다!!! 그리고 창의 아래를 보면 “동기화 옵션” 버튼이 보입니다. 이 버튼을 클릭해야 합니다. 구글은 동기화 폴더 변경 기능을 여기에 숨겨??? 놓았습니다.

구글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위치 바꾸기(Google Drive)

“동기화 옵션” 탭에 보면 폴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변경…” 버튼이 보입니다.

구글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위치 바꾸기(Google Drive)

아래 화면처럼 다른 폴더로 변경하고 “동기화 시작” 버튼을 누르면 변경된 폴더에 동기화가 시작됩니다.

구글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위치 바꾸기(Google Drive)

이렇게 계정 연결을 해제하고 다시 연결하는 과정에서 동기화 폴더를 변경한 뒤에는 다시 계정 연결을 해제하기 전까지는 동기화 폴더를 다시 변경할 수 없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