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드라이브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계정의 홈디렉토리에 생성됩니다. 하지만 이 기본경로는 C:드라이브여서 꽤나 많은 공간을 낭비하게 되죠. 그래서 MicroSD를 노트북에 꼽고 이 MicroSD에 구글드라이브를 생성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구글드라이브는 최초 설치시와 설치되고 구글계정과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동기화 경로를 바꿀 수 있는 환경설정 옵션을 제공해주지 않기 때문에 일단 한번 구글계정과 연결한 이후 계정 연결 해제와 재 연결 과정을 거쳐 드라이브 동기화 폴더를 변경해야 합니다.
그 과정을 지금부터 설명합니다.
먼저 구글드라이브의 동기화를 중지합니다. 다음과 같이 구글드라이브 앱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다음과 같이 팝업메뉴가 실행되죠. 오른쪽 위의 점세개를 클릭합니다.
아래 화면처럼 환경설정 창이 실행되면 가운데 탭인 "계정" 탭을 선택합니다. "계정" 탭에는 "계정 연결 해제..." 버튼이 보입니다. 클릭하면 연결을 해제하겠냐는 창이 보입니다. "연결 해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 화면처럼 연결이 해제되었으며 더 이상 동기화 되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보입니다.
창을 닫고... 다시 구글 드라이브 앱에서 마우스를 우클릭합니다. 동기화가 중지되고 구글계정 연결이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 처럼 "로그인" 창이 실행됩니다.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처럼 로그인 창이 뜹니다. 구글 계정을 입력하고...다음 창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합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다음~다음~버튼을 누르다 보면 아래 화면처럼 "설정이 끝났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멈춥니다!!! 그리고 창의 아래를 보면 "동기화 옵션" 버튼이 보입니다. 이 버튼을 클릭해야 합니다. 구글은 동기화 폴더 변경 기능을 여기에 숨겨??? 놓았습니다.
"동기화 옵션" 탭에 보면 폴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변경..." 버튼이 보입니다.
아래 화면처럼 다른 폴더로 변경하고 "동기화 시작" 버튼을 누르면 변경된 폴더에 동기화가 시작됩니다.
이렇게 계정 연결을 해제하고 다시 연결하는 과정에서 동기화 폴더를 변경한 뒤에는 다시 계정 연결을 해제하기 전까지는 동기화 폴더를 다시 변경할 수 없습니다.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리리눅스 설치 후 한글 환경 설정 및 VMWare Tools 설치하기 (0) | 2017.12.27 |
---|---|
파일 삭제 시 발생하는 오류 (0x80070570) 해결하기 (4) | 2017.10.01 |
칼리리눅스(2017.01) 한글깨짐 문제해결 (fonts-nanum 설치 오류) (0) | 2017.08.13 |
Hyper-V Server 2016 설치하고 Hyper-V Manager에서 원격접속 설정하기 (0) | 2017.04.17 |
[xrdp] error – problem connecting (0) | 2017.03.28 |
구글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위치 바꾸기(Google Drive) (2) | 2016.12.25 |
Hyper-V에서 Windows 7 가상머신 생성하기 (0) | 2016.09.12 |
Hyper-V의 가상 스위치 만들기 (Windows 10 기준) (0) | 2016.09.12 |
Windows 10의 HyperV 활성화 하기 (0) | 2016.09.12 |
VMWare Workstation Player 12.1 에서 NAT IP 변경하기 (0) | 2016.03.26 |
리눅스 민트의 기본 텍스트 편집기 gedit 에 FTP 플러그인 적용하기 (2) | 2016.03.21 |
짱짱 구글드라이브 고객센터보다 훨 낫음!!@!
ㅎ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