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N] 해외 IP를 사용하는 나만의 VPN 서버 만들기 (오라클 클라우드)

    반응형

    IT 전공자라면 하나 쯤 갖고 싶어할 만한 아이템이 해외 VPN이다. 물론 무료도 있고 유료도 있지만 속도 문제 또는 그런데 돈 쓰고 싶지 않아 외면하고 있는 사람도 꽤 된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저렴한 해외 클라우드에 VPN 서버를 구축하고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 방법도 매월 5~6천원의 비용이 들어가고 비IT 전공자라면 꽤 어려운 설치 과정을 거쳐야 하기에 그림의 떡인 경우도 많다.

     

    하지만 이제 손쉽게 클릭~몇번(?)으로 해외IP를 갖는 VPN서버를 구축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바로 오라클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다만 오라클 클라우드는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해야만 무료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무료계정을 만든다면 2개의 서버 인스턴스(1 vCpu, 1 G RAM) 등을 무료로 평생 사용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일단, 오라클 클라우드의 무료 계정을 만들었다는 가정하에 해외 IP를 사용하는 나만의 VPN 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클라우드의 리전은 국내 리전을 선택해도 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 할당된 공인IP가 부족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국내의 오라클 클라우드 리전에서는 해외 IP를 할당하도록 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라클 클라우드에 OpenVPN 서버 설치하기

    먼저 오라클 클라우드 관리콘솔에 접속한 뒤 왼쪽 메뉴 트리에서 "Marketplace" 메뉴를 선택하고 "All Application"을 선택한다. 

    OCI의 Marketplace를 통한 어플리케이션 설치

     

    검색창에 "openvpn"을 입력하면 "OpenVPN Access Server"가 보인다.

    오라클 클라우드의 OpenVPN Access Server
    OpenVPN Access Server

    OpenVPN Access Server 아이콘을 클릭한다.

     

    OpenVPN 서버를 설치하는 화면이 보인다. 버전과 컴파트먼트(Compartment)를 확인하고 설치를 진행하기 위해 "Launch Stack" 버튼을 클릭한다.

    오라클 를라우드의 OpenVPN Access Server

     

    설치 단계로 넘어간다. Name에 적당한 이름을 입력한다.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간결한 이름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 "Next" 버튼을 누른다.

    OCI의 OpenVPN 서버 설치
    OCI의 OpenVPN 서버 설치

     

    "OpenVPN Access Server Name"도 간결한 이름을 지정해준다. "Compute Shape"는 무료인 VM.Standard.E2.1.Micro를 선택한다.

    OpenVPN 설치 환경 설정

    "Application Configuration"의 "Administrator Username"은 OpenVPN 서버가 설치되고 나면 접속해야 하는 "관리자 웹페이지"에 만들 계정이다. 매우 중요하니 꼭 메모를 해 두자. 당연히 비밀번호도 정하고 함께 메모해두자. 이 계정은 VPN 연결 시 사용되는 계정이기도 하다.

     

    그리고 "Next" 버튼을 누른다.

     

    다음은 "Network Configuration"이다.

    OpenVPN 서버가 생성될 OCI의 네트워크 설정

    이 설정은 특별히 변경할 필요는 없다. 초심자라면 더군다나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다.

     

    "Next" 버튼을 누른다.

     

    설정을 리뷰해준다.

    OpenVPN 서버 설치를 위한 설정값 검토

     

    아래의 "Run Apply"를 체크하고 "Create" 버튼을 누른다.

     

    설정이 유효하다면 일단 작업이 진행된다.

    OpenVPN 설치 중

     

    만약 에러없이 작업이 완료되었다면 VCN, Subnet, Instance와 같은 자원은 물론 일종의 방화벽 정책도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OpenVPN Access Server 관리자 웹페이지 

    OpenVPN 서버가 설치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OpenVPN 서버의 관리자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OpenVPN Access Server 관리자 웹페이지

     

    이 때 웹 접속 IP는 오라클 클라우드 콘솔의 "Compute"-"Instance"에 가면 생성되어 있는 OpenVPN 서버가 설치된 인스턴스의 공인IP와 같다. 그 공인 IP를 복사해 웹브라우저에서 "https://IPAddress"로 접속하면 된다.

     

    그리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앞에서 설정한 Username과 비밀번호다.

     

    접속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각각의 운영체제별로 설치 프로그램과 OpenVPN 접속방법이 설명되어 있는 링크페이지가 보인다.난 Windows PC를 사용하기에 Windows 아이콘이 있는 적색박스의 윈도 아이콘을 눌러 OpenVPN 클라이언트 프로그램(.msi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OpenVPN 접속 프로그램 다운로드

     

    Windows에 OpenVPN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하면서 OpenVPN 서버 관리자페이지에 접속해 계정을 확인해보자.

    화면 하단에 있는 "Admin"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Admin Login" 창이 한번 더 보인다. 오라클 클라우드에 OpenVPN Access Server 설치를 위한 설정화면에서 입력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한번 더 입력한다.

    OpenVPN 서버 관리자페이지 접속

     

    그럼 아래와 같이 설치한 OpenVPN Access Server의 상태가 보인다.

    OpenVPN Access Server 관리자 페이지

     

    왼쪽에 "USER MANAGEMENT" 메뉴가 보인다. 클릭하자.

    그러면 "User Permissions "가 보이는데..클릭하자.

    OpenVPN Access Server 계정관리 화면

     

    설치 중 입력한 계정 외에  하나의 계정이 더 보인다. 바로 기본계정인 "Admin" 이다. 이 "Admin" 계정은 과감하게 지워준다.  (위 화면은 지운 뒤의 화면이다.) 계정을 삭제할 땐 삭제할 계정에서 "Delete" 체크버튼을 체크한 뒤 화면 하단의 "Save Setting"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OpenVPN 클라이언트 (OpenVPN Connect) 설치 및 VPN 연결

    아래화면과 같이 다운로드 받은 .msi 파일을 설치한다.

    OpenVPN Connect 설치

     

    이런 저런 과정을 거쳐 설치하면 아래 화면처럼 "OpenVPN Connect"가 보인다. 더블클릭으로 실행한다.

    OpenVPN 클라이언트 SW (OpenVPN Connect) 설치

     

    설치한 뒤 OpenVPN Connect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설정된 VPN의 접속 프로파일이 생성되어 있다.

    OpenVPN의 VPN 클라이언트 연결화면

     

    프로필의 IP를 확인한 뒤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면 OpenVPN 접속을 위한 로그인 창이 보이게 된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OpenVPN 클라이언트 접속

     

    접속이 되면 아이콘의 색이 초록색으로 바뀐다. 시간대별 트래픽 정보도 함께 볼 수 있음.

    OpenVPN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성공

     

    처음엔 이 때 OpenVPN에서 Source NAT에 사용되는 인스턴스의 공인IP에 한국IP가 할당될 것으로 생각했다.그런데 한국IP가 아니었다. 해외 IP이며 실제로 국내의 해외IP 차단기능이 있는 웹사이트에 접속을 시도하면 아래와 같이 접속에 실패한다. 즉, 해외IP인 것이다.

    해외 IP 차단

     

    자..이제.. IP의 자유를 느껴보자.

     

    #OpenVPN #오라클클라우드 #나만의VPN서버

    댓글(6)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