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데스크탑] WSL2에서 도커 이미지와 컨테이너를 쉽게 관리하기

Windows에서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을 출시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WSL2로 업그레이드 하며 커널레벨의 호환성도 더욱 개선하는 등 마이크로소프트의 친-리눅스 행보가 계속되고 있다.

 

그 와중에 WSL2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가상화를 위한 도커(Docker)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Windows 용 GUI 응용프로그램인 Docker Desktop도 도커허브 사이트에서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오늘은 도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Windows의 WSL2 지원 우분투 가상 리눅스 머신에 도커 데스크탑을 통해 도커를 설치하고 기본 설정을 진행하는 과정을 포스팅 한다.

 

Windows 10/11에서 도커 데스크탑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

Docker Desktop 설치를 위한 준비 사항

 

먼저 Windows 10 버전 1903 이후버전 또는 Windows 11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WSL2를 활성화하고 WSL2를 지원하는 가상머신 즉 이 포스트에서는 Ubuntu 20.04를 WSL2에 설치하여야 하며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모듈도 설치하여야 한다.

 

이 과정은 다음 URL에 방문하여 자세한 내용을 보고 진행하면 된다. (https://docs.docker.com/desktop/windows/wsl/)

 

Docker Desktop 설치하기

Windows에 WSL2를 활성화하고 우분투를 설치했다면 위의 "다운로드"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은 Docker Desktop 설치 파일을 실행해 설치 단계로 진입한다.

Docker Desktop 설치 파일

 

Hyper-V를 선택하면 윈도의 WSL에 설치된 리눅스에 도커를 설치하지 않고 윈도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Use WSL 2 ~~~"를 선택해야 한다. 그래야 도커 데스크탑이 WSL2에 설치된 리눅스의  도커 이미지와 컨테이너를 관리하게 된다.

 

Use WSL 2 ~~~를 선택한다.

 

도커 데스크탑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한다.

도커 데스크탑 설치 중

 

설치 자체는 금방 완료된다.

Docker Desktop 설치 완료

 

도커 데스크탑 구동 및 설정

설치가 완료되면 바탕화면 또는 응용프로그램에 "Docker Desktop"이라는 고래와 컨테이너가 포함된 파란색 도커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 "Docker Desktop"을 처음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인다.

도커데스크탑 처음 실행 화면

 

이 시점에서 WSL2의 Ubuntu 리눅스에 접속해 docker 명령어를 실행해보면 docker 명령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명령어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한다.

 

하지만 조금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도커가 설치되고 다음과 같이 docker 명령어가 설치되어 있고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사실 자동으로 설치가 된것인지.. 이 포스트의 맨 아래 화면의 설정에서 Ubuntu Linux를 활성화시켜줘서 설치가 된 것인지 확실치는 않다.)

Docker Desktop이 WSL2의 Ubuntu 리눅스에 자동으로 설치한 docker 패키지

 

아마도 Windows에서 처음 실행된 Docker Desktop이 관리 대상으로 설정된 WSL 2에서 실행 중인 Ubuntu Linux에 Docker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설치되는 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되지는 않는다.

 

Docker 설치가 완료되면 Docker Desktop에서 Getting Started가 실행된다.Skip해도 무방하겠다.

 

 

 

"Home"을 선택했을 때의 화면. 설치 가능한 도커 이미지를 보여준다.

Docker Desktop의 Home 화면
Docker Desktop의 Home 화면

 

다음은 Settings 메뉴의 General 메뉴로 가서 "Use the WSL 2 based engine" 을 체크해주어야 한다. Settings 메뉴는 상단의 설정(톱니 모양 표시) 아이콘을 누르면 된다.

Docker Desktop의 WSL 2 기반 엔진 사용 설정

 

문제의 Resources 메뉴다. 이 메뉴에 찾아가서 실제 사용할 WSL 2에 설치된 리눅스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Ubuntu-20.04를 선택했다. 

Resource 선택

 

앞에서도 언급했듯... 이 설정을 해준 뒤에 Ubuntu Linux에 Docker가 설치된 것인지 아니면 Docker Desktop을 설치하기 전에 Ubuntu-20.04의 리눅스가 실행중이어서 활성화가 된 것인지 기억이 가물하물하다.

 

어쨌든 WSL 2의 Ubuntu 20.04에 도커 데스크탑 설치가 완료되었다.

 

이제 Docker Desktop에서 도커 허브의 도커 이미지를 WSL 2의 리눅스에 설치할 수 있고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당연히 이미지와 컨테이너의 삭제도 가능하며 다양한 컨테이너 관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세상은 갈 수록 편해진다. 다만 적응하지 못할 뿐...

 

#WSL2 #DockerDesktop #도커데스크탑

 

댓글(0)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