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보안

Reverse Telnet 실습과 RedCastle을 통한 방어 방법

Unix 서버와 Linux 서버 그리고 Windows 서버 운영체제는…사실 운영체제 그 자체가 취약점 덩어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 운영체제 자체의 취약성은 운영체제의 필요불가피성에 뭍혀버리고 서버 외부에서 서버 내부로의 침투를 차단하는데 온갖 보안 솔루션을 동원하여 방어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년 사이에 그러한 인식은 많이 바뀌어 가고 있음을 서버보안SW를 다루면서 느낄 …

Reverse Telnet 실습과 RedCastle을 통한 방어 방법 더 보기 >>

2차 인증 및 워크플로 기반 명령어 통제 시스템

명령어 실행 및 파일 접근 통제 정보보안이라고 하면 흔히 악성코드나 모의해킹 그리고 취약성 분석 등을 떠올리기 마련이지만..사실상 해커들이 그러한 공격기법들을 통해 얻으려 하는 것은 매우 단순하다. 바로 “정보”다. 그리고 해커들이 원하는 정보는 99%가 “파일” 혹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 또는 정보가 담겨있는 …

2차 인증 및 워크플로 기반 명령어 통제 시스템 더 보기 >>

클리앙 홈페이지 해킹에 의한 랜섬웨어 유포 사고 (2015.04)

클리앙의 랜섬웨어 유포 사고 4월의 하순으로 접어드는 어느 날… 국내에서 꽤나 큰 커뮤니티인 클리앙에서 접속자들의 PC에 랜섬웨어가 유포되는 해킹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랜섬웨어는 커뮤니티의 웹서버 중 하나를 해킹하여 소스를 수정하는 “웹서버 소스 파일 위변조 공격”으로 커뮤니티에 접속한 사용자 PC에 해커들이 미리 준비해 둔 다른 웹서버에서 랜섬웨어를 다운로드 받도록 하는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rive …

클리앙 홈페이지 해킹에 의한 랜섬웨어 유포 사고 (2015.04) 더 보기 >>

이중 인증 기반 명령어 실행 통제 기술의 핵심 (참조모니터 : Reference Monitor)

보안 운영체제라 부르는 Secure-OS를 이용한 서버의 보안 강화와 관련된 이슈는 아직까지 보안 시장에 무르익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2011년 농협 보안사고와 다수의카드사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서와 같이 대형 보안 사고는 대부분 “서버 운영체제에 개발자 혹은 관리자 권한”으로 접속한 내부 사용자 권한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정보가 저장되고 가공되며 …

이중 인증 기반 명령어 실행 통제 기술의 핵심 (참조모니터 : Reference Monitor) 더 보기 >>

웹서버 해킹 방어 사례 – 남다른 끈기를 보여준 해커

최근 웹서버의 소스 변조 공격이 또 다시 붐~처럼 휘몰아 치고 있는 듯 하다. 얼마 전 지속적인 웹 소스파일 변조 공격을 받고 있어 몇 주 째 사투(?)를 벌이고 있던 한 웹사이트 운영 업체의 요청으로 RedCastle SecureOS를 설치하고 해커와 한판 전쟁을 치르게 되었다. 이 해커는 다른 일반적인 소스 변조를 시도하는 사례와는 달리 한 …

웹서버 해킹 방어 사례 – 남다른 끈기를 보여준 해커 더 보기 >>

SETHC.EXE 의 취약성을 이용한 백도어 공격 기법

윈도 운영체제는 태생적으로 갖고 있는 문제들로 인해 아직도 매우 취약한 운영체제로 분류됩니다. 현재 진행형인 보안사고 사례에서 재미있는(?) 윈도 운영체제의 취약성을 알게 되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윈도서버에 매우 손쉽게 백도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유닉스나 리눅스가 갖고 있는 쉘카피백도어와 비슷한 백도어 생성기법 중 하나입니다. sethc.exe는 C:\Windows\system32 디렉토리에 있는 시스템 …

SETHC.EXE 의 취약성을 이용한 백도어 공격 기법 더 보기 >>

웹페이지 변조와 웹서버 해킹의 주범인 웹쉘(webshell)의 사례와 분석 (ASP 웹쉘)

해킹 공격 중에 DOS(혹은 DDOS)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어쩌면 반대일 수도) 공격이 바로 웹쉘을 통한 웹서버 공격입니다. 해커들이 웹서버를 공격할 때 가장 즐겨 사용하는 공격도구이자 취약점이 바로 웹쉘입니다. 웹쉘은 Unix/Linux는 물론 Windows 서버까지 운영체제를 가리지 않고 존재합니다. 또한 JSP, ASP 등 웹서버에서 구동되는 언어 또한 가라지 않고 다양한 웹쉘이 존재합니다. …

웹페이지 변조와 웹서버 해킹의 주범인 웹쉘(webshell)의 사례와 분석 (ASP 웹쉘) 더 보기 >>

bash 취약점의 이해와 대응 방안 (CVE-2014-6271)

얼마 전에 리눅스 운영체제의 기본적인 쉘(shell)인 bash의 취약점이 발견되어 인터넷을 통해 널리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취약점의 특징은 하트블리드 취약점과는 달리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결함이 아닌 리눅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쉘(shell)인 bash (bourne-again shell)의 취약점입니다 저는 처음에 자세한 내용이 아닌 트위터나 페이스북에 올린 한두 줄의  bash 취약점 소식을 듣고… “쉘이 원래 명령어를 실행하기 …

bash 취약점의 이해와 대응 방안 (CVE-2014-6271) 더 보기 >>

302 리다이렉트 공격기법에 대하여

최근 “302 리다이렉션 공격”이라는 해킹이 유행하고 있는 듯 합니다. 마치 새로운 대단한 공격 기법인 것처럼 호들갑을 떨지만 이것은 새로운 공격 기법은 아닙니다. 홈페이지를 변조하거나 웹 브라우저가 요청한 웹페이지에 대해 특정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삽입하여 클라이언트 PC의 웹 브라우저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받게 하는 하는 수많은 공격 기법과 전혀 다를 바가 없는 일반적인..흔하디 …

302 리다이렉트 공격기법에 대하여 더 보기 >>

RedCastle SecureOS를 활용한 공다팩(Gongda pack) 유포를 차단하는 서버보안 정책 적용 방안

해커들이 해킹을 통해 침투하고자 하는 컴퓨터는 딱~ 두종류로 요약된다. 개인의 비밀스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Windows 운영체제가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와 기업의 기밀정보(고객 개인정보 포함)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다. 이 두 컴퓨터에 침입하기 위한 공격 기법은 이루 셀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그중에서 최근 해커들에게 각광받고 있는 공격기법이 바로 웹서버 해킹을 통해 …

RedCastle SecureOS를 활용한 공다팩(Gongda pack) 유포를 차단하는 서버보안 정책 적용 방안 더 보기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