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보안

웹쉘(webshell)의 위험성과 서버보안S/W(RedCastle SecurOS)를 이용한 차단 방법

관련 포스트 : 웹서버 소스파일 위변조 차단을 위한 SecureOS 적용 웹쉘(web-shell)은 서버를 해킹하는 가장 훌륭한 도구 중에 하나다. 웹서버에 웹쉘을 업로드 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쉘을 호출할 수 있다면 해커는 그 서버를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는 권한을 90%쯤 갖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서버관리자와 보안관리자들이 웹쉘이 업로드된 서버를 발견하게 …

웹쉘(webshell)의 위험성과 서버보안S/W(RedCastle SecurOS)를 이용한 차단 방법 더 보기 >>

7.7 대란 이후 DDOS 공격은 왜 계속되는가 ?

시간 참 빠르게 흘러간다.  7.7 대란 (DDOS공격)이 있었던 지도 벌써 4개월이 지났다.  “DDOS 공격”이란 용어가 일반인들 사이에서 이제 점점 잊혀져 가고 있을 그런 시간이 되었다. 그런데 조금 전 웹서핑을 하다가 아직도 DDOS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는 기사를 보게 되었다.   제목이 무척이나 비장하게 느껴지는 건 아마도 내가 관련업종에서 일하고 있기 …

7.7 대란 이후 DDOS 공격은 왜 계속되는가 ? 더 보기 >>

일반계정(오퍼레이터 등)에서 오라클/웹로직 계정의 권한이 필요한 서비스를 구동/중지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작성

Unix 및 Linux 운영체제에 설치되는 다양한 상용 애플리케이션들은 각자의 관리자 계정을 필요로 한다. 오라클, 웹로직은 물론 국산 S/W 들도 각각의 관리자 계정을 만들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각각의 서비스를 구동/중지하기 위해서는 각 계정의 패스워드를 알고 있어야 하며 일반 계정 혹은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su (Switch User) 명령을 통해 해당 계정의 …

일반계정(오퍼레이터 등)에서 오라클/웹로직 계정의 권한이 필요한 서비스를 구동/중지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작성 더 보기 >>

[보안사고사례] 한나라당 홈페이지 해킹 사고 (2008.05)

해커들 마저도 반발하고 있다. 미국 쇠고기 수입에 반발한 어느 해커가 한나라당의 홈페이지를 해킹했다. 홈페이지 해킹의 대표적인 사례다.  서버보안 교육할 때 홈페이지 위변조 해킹 사례로 활용하기에 너무 좋은 자료가 될 것 같다. 졸고 있는 교육생들을 깨우기에 너무 좋은 자료를 준 한나라당과 이명박 대통령께 감사한다.

[보안사고사례] 금융권 서버의 root 권한 탈취 (2008.5)

이번엔 은행이었다.. 금융권… 전산망에 관한한 가장 철저한 보안이 유지되고 있다고 “스스로들..” 자부하는 곳이다. 은행 임직원의 직장에 대한 자부심은 정말 대단하다.  그리고 스스로의 보안은 철저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도 가장 철저한 보안을 유지하고 있는 곳이 바로 금융권이다. “루트 권한 획득” “루트”는 root 이다. 해커에게 root 사용자 계정의 권한이 탈취당했다는 것은… …

[보안사고사례] 금융권 서버의 root 권한 탈취 (2008.5) 더 보기 >>

서버보안S/W RedCastle을 통한 해킹 방어 사례

최근 해킹사고가 늘고 있다. 서버보안 S/W의 기술지원과 서버 보안 컨설팅 업무를 약 5년여 동안 하면서 고작 1년에 두 세건 정도 접할 수 있던 서버 해킹 사고가 최근 두여 동안에만 벌써 세 건이나 발생했다. 이런 보안 사고를 접하면서 지금까지 접한 해킹 형태를 문서로 정리해보고 싶은 충동이 생겨 실제 사례 중 …

서버보안S/W RedCastle을 통한 해킹 방어 사례 더 보기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