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DB|개발

워드프레스의 깔끔한 최근 댓글 플러그인 – Better Recent Comments

워드프레스나 구글블로거 등 외산 솔루션을 사용해 블로그를 만들다 보면 관점에서 많은 부족함을 느낀다. 만들어 놓은 블로그를 바라보면 가슴속 저~~~ 밑바닥에서 부터 치솟아 오르는 어떤 불만족이 생겨나는 것이다. 도대체 저 서쪽 인간들의 미적 사고는 어떻길래 물건들을 이렇게도 예쁘지 않게 만들까라는 의구심마저 생길 정도다. 기본 기능만 사용하면 “건물을 지어놓고 조경과 도색을 하나도 하지 않은” 그런 날것의 건물을 …

워드프레스의 깔끔한 최근 댓글 플러그인 – Better Recent Comments 더 보기 »

Comment Reply Email Notification 플러그인 댓글의 답글 알림 메시지 한글화

얼마 전 티스토리에서 독립 서버의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이사한 뒤 방문자가 작성한 댓글의 답글 작성 알림을 이메일로 보내는 Comment Reply Email Notification 플러그인을 적용했다. WP Mail SMTP라는 플러그인과 함게 적용하여 댓글에 답글이 작성될 경우 댓글 작성자에게 이메일로 정확하게 알림(보러가기)이 가는 것을 확인했다. 댓글의 답글 알림 영문 메시지 (Notify me via e-mail if anyone answers my comment.) …

Comment Reply Email Notification 플러그인 댓글의 답글 알림 메시지 한글화 더 보기 »

워드프레스 댓글에 답글 작성 알림 메일 보내는 방법

독립된 서버에 설치된 워드프레스 블로그로 티스토리 블로그를 이사한 뒤 받는 느낌 중 하나는 작은 쪽배 하나 타고 이리 저리 망망대해를 떠돌고 있다는 느낌이다.  네이버나 티스티로에 블로그를 운영할 때는 네이버 회원이나 카카오 티스토리의 회원들이 블로그에 댓글을 달 경우 자기가 단 댓글에 답글이 달렸는지를 포털에 로그인하면 쉽게 알 수 있지만 독립 서버에서 설치된 이름모를 도메인 주소의 블로그에 …

워드프레스 댓글에 답글 작성 알림 메일 보내는 방법 더 보기 »

워드프레스의 스팸댓글 차단하는 방법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이사를 한 후 발생한 문제 중 하나가 스팸댓글이다. 그리고 많은 인터넷 글들을 찾아봐도 스팸댓글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마치 플러그인이 가장 좋은 방법인 것 처럼 소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플러그인을 쓰지 않고도 IP 주소나 키워드 기반으로도 차단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필자도 플러그인을 써봤지만 계속 유료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라고 알람을 실행시키고 어떤 플러그인은 날짜의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

워드프레스의 스팸댓글 차단하는 방법 더 보기 »

BeautifulSoup을 사용하여 티스토리 블로그의 포스트를 백업 받는 파이썬 코드 작성하기

왜 티스토리에서 운영하던 블로그를 독립서버에 구축한 워드프레스로 이사했는지는 이 포스트에서 언급하지 않겠다. (그 이유 보러가기) 이유야 어찌됐든 이사를 결심한 다음 가장 중요한 작업은 바로 티스토리 블로그에 작성돼있는 1,000개에 육박하는 포스트의 백업이었다. 다른 블로거가 공개한 파이썬 코드도 있고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백업 기능도 있지만 모두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가장 큰 이유는 필요없는 html 태그와 어트리뷰트 그리고 스크립트가 …

BeautifulSoup을 사용하여 티스토리 블로그의 포스트를 백업 받는 파이썬 코드 작성하기 더 보기 »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워드프레스로 이사 하기 (이사 완료)

티스토리 블로그의 이사를 결심하다. 티스토리에 둥지를 튼지 15년이 지난 어느 날. 마음속으로 시뮬레이션만 하던 블로그 이사를 시작했다. 오래 전 부터 직접 Web서버와 DB서버를 구축하고 워드프레스를 웹과 DB를 분리하여 설치한 다음 티스토리의 블로그 포스트를 모두 이사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곤했다. 하지만 문제는 1000개에 육박하는 포스트를 어떻게 옮기는가 하는 것이었다. 게다가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백업 파일에는 불필요한 HTML 코드와 CSS …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워드프레스로 이사 하기 (이사 완료) 더 보기 »

리눅스에 git 설치하고 github와 연동하기

  Git과 GitHub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직면하게 되는 어려움 중 하나가 소스코드의 형상 관리다. 코딩을 하다보면 이런 저런 다양한 알고리즘과 로직을 적용하게 되는데 그 때마다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고 코드를 지우고 새로 작성하고 또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고를 반복하기도 한다. 게다가 혼자 개발하지 않고 많은 개발자들이 하나의 SW를 개발하거나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면 그 어려움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지경이 된다. 그래서 등장한 …

리눅스에 git 설치하고 github와 연동하기 더 보기 »

[워드프레스] “필요한 모듈 gd을(를) 설치하지 않았거나 비활성화 했습니다.” 에러 조치하기

티스토리 블로그를 워드프레스로 이사하는 테스트를 위해 워드프레스를 우분투 20.04 LTS에 설치했다. PHP-FPM도 설정하고 잘 마무리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웬걸… “필요한 모듈 gd…” 관련 에러가 발생했다. 워드프레스의 “도구” – “사이트 건강” 워드프레스의 관리자페이지의 “도구” – “사이트 건강” 메뉴에 가니… 하나 이상의 모듈이 설치되지 않았다고 표시된다. php가 두 개 이상 서로 다른 버전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원인을 확인하는데 …

[워드프레스] “필요한 모듈 gd을(를) 설치하지 않았거나 비활성화 했습니다.” 에러 조치하기 더 보기 »

CentOS 7.9에 MySQL 8.x 설치하기

오랫만에 CentOS와 MySQL을 만져본다. 주로 Ubuntu와 MariaDB를 사용하곤 했는데 이번 테스트는 CentOS와 MySQL 환경에서 진행해야 하기에 오랫만에 운영체제를 바꿔본다. CentOS의 설치는 버전에 무관하게 설치과정이 비슷하니 생략하고 MySQL 8.x의 설치 과정을 포스팅한다. CentOS 7.9를 설치하고 yum 명령으로 기본 리포지토리에서 MySQL을 설치하면 5.6 버전이 기본으로 설치된다. 하지만 최신 버전은 8.0.x 버전이다. 따라서 설치용 rpm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

CentOS 7.9에 MySQL 8.x 설치하기 더 보기 »

워드프레스의 웹서버와 DB서버 분리하기 – 2. MariaDB 및 워드프레스 설치

앞의 포스트에서 웹서버로 사용할 리눅스(Ubuntu 20.04) 서버에 Apache 2와 PHP 7.4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제 DB서버로 사용할 리눅스 서버에 MariaDB를 설치하고 웹서버에 워드프레스 설치파일을 업로드하고 설치하는 과정을 기록한다. LAMP의 DB서버로 사용할 리눅스(Ubuntu 20.04) 서버에 로그인 하여 MariaDB를 설치한다. MariaDB 설치하기 sudo apt install mariadb-server mariadb-client 아래 화면처럼 MariaDB Server가 설치된다. MariaDB 설치 완료 MariaDB 설치 …

워드프레스의 웹서버와 DB서버 분리하기 – 2. MariaDB 및 워드프레스 설치 더 보기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