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캐시비를 알뜰교통카드로 등록해 사용하기

    반응형

    알뜰교통카드란?

    알뜰교통카드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교통비 인하 공약으로 만들어진 일종의 마일리지 적립형 교통카드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50:50으로 재원을 마련해 알뜰교통카드(구, 광역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할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걸은 걸음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적립해준다.

     

    출근을 예로 들어 마일리지 적립 형태를 설명하자면...

     

    집에서 나갈 때 알뜰교통카드 앱에서 "출발" 버튼을 누른다. 버스정류장 또는 지하철역까지 도보로 이동하고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목적지 역에서 하차하고 회사까지 걸어간다. 회사에 도착하면 다시 알뜰교통카드 앱에서 "도착"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3~8일 뒤 교통카드 또는 신용카드 회사에서 대중교통의 최초 탑승시간과 최종 하차시간을 가져와 "출발"에서 "도착"까지의 시간과 비교하고 걸음수를 카운트해 그에 비례하는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자세한 마일리지 적립 기준은 알카드 홈페이지에서>

     

    초장기에는 일부 신용카드사에서 발행한 특정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발급받아 알뜰교통카드 앱에 등록해야만 했지만 요즘엔 모바일 티머니 페이 앱과 모바일 캐시비의 카드 번호를 등록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하지만 티머니 페이의 경우 아주 교묘하게(?) 모바일 티머니와 티머니페이를 구분하고 유심과 폰의 통신사가 다를 경우 제약이 있어 불편했다. 버스나 지하철에서 태그할 때 마다 화면을 켜고 티머니 페이 앱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너무 컸다.

     

    알뜰교통카드에 티머니페이 교통카드 등록해 사용하기(2020.12.12)

     

    그래서 이통사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캐시비로 갈아타기로 했다.

     

    모바일 캐시비를 알뜰교통카드로 등록하기

     

    모바일 캐시비 앱을 설치하고 선불형 교통카드를 발급하면 아래처럼 알뜰교통카드로 등록해 사용할 수 있다. 단, 후불형은 알뜰교통카드로 사용할 수 없다. 반드시 선불충전형 모바일 캐시비만 알뜰교통카드로 등록해 사용할 수 있다.

     

    알뜰교통카드에 등록된 모바일 캐시비

     

    알뜰교통카드에 등록할 모바일 캐시비 카드 번호는 앞 화면에서 좌측 상단의 삼선 아이콘을 누르면 표시되는 "카드번호"다. 반드시 "선불형", "일반" 모바일 캐시비이어야 한다는 점을 꼭~~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모바일 캐시비 카드번호

     

    모바일 캐시비 카드번호를 알뜰교통카드로 등록하는 방법은 모바일 캐시비 앱에도 잘 설명되어 있다.

     

    모바일캐시비 카드번호를 알뜰교통카드에 등록하는 방법

     

    알뜰교통카드 앱에서 "내카드" 메뉴에 들어가면 등록된 알뜰교통카드를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화면을 보면 티머니 카드를 등록했다가 1년 정도 사용하고 모바일 캐시비로 변경한 것을 알 수 있다.

    매번 앱을 켜고 교통카드 태그를 해야 하는 불편함을 1년이나 참아(?)왔다.

     

    알뜰교통카드 앱의 모바일 캐시비 카드 등록

     

    적립된 마일리지의 지급 내역

    마일리지는 대중교통을 이용한 뒤 3~8일 정도 뒤에 적립된다. 그리고 적립된 마일리지는 다음달 10일 (모바일 캐시비의 경우)에 지급된다. 적립된 마일리지의 지급 내역은 모바일 캐시비 앱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포스팅하기 전날. 마일리지 11,500원이 선물로 지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매월 적게는 4~5000원이, 많게는 1만원 정도가 지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가 모바일 캐시비를 통해 지급된 화면

     

    모바일 캐시비 앱의 NFC 설정 (읽기/쓰기 또는 카드모드 설정)

    모바일 캐시비를 사용하다 보면 자꾸만 NFC의 모드를 "읽기/쓰기 또는 기본모드" 모드로 설정하라고 안내하는 경고창이 실행된다. 

     

    모바일 캐시비의 NFC 설정 경고창

     

    하지만 교통카드 기능만 사용할 경우 "읽기/쓰기" 모드나 "기본" 모드가 아니어도 된다. 그럼에도 계속 경고창이 뜨는 이유를 알기 힘들다. 필자는 아래 처럼 NFC의 모드를 "카드 모드"로 설정하고 사용한다.

     

    모바일 캐시비의 NFC는 "카드 모드"로

     

    카드모드로 설정해도 충전 잘되고 승/하차 시 태그도 잘 된다.

     

    출발/도착 시 알뜰교통카드 앱에서 버튼만 잘~ 눌러주면 된다.

     

    #알뜰교통카드 #모바일캐시비

     

     

    댓글(0)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