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Player에서 NAT 설정하기

서버 운영체제의 가상화 열풍이 무섭다.

하지만 클러스터와 HA의 개념을 정확하게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듯 가상화라는 용어도 역시나 여기저기 마구~ 붙여지고 있다. 영업적 측면에서 유행을 쫒아야하는 마케팅 때문이긴 하겠지만 엔지니어인 만큼 가상화의 개념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할 듯 싶다.

VMWare Workstation이나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 VMWare Player는 S/W 가상화 솔루션이다. 따라서 CPU가 가상화를 지원하지 않는 구형 PC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요즘 사용되는 PC에 사용되는 CPU는 보다 빠른 속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H/W 측면에서 가상화를 지원하고 있다.)

내가 하는 일이 서버 보안 분야의 일이다 보니 다양한 운영체제를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에서 VMWare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가상 OS는 Solaris (x86), Linux (RedHat , CentOS 등), Windows 2003/2008 이다.  모두 Intel x86/x64 기반의 CPU를 지원하는 운영체제다.

 

VMWare Player에서 NAT 설정 메뉴가 사라졌다.

여기 저기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VMWare를 이용하면 VMWare 상에서 구동되는 게스트 OS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NAT 설정이 필수다. 그런데 VMWare Workstation (유료)에서는 지원되는 NAT 설정화면이 무료버전인 VMWare Player 에서는 사라졌다. 당연히 될것으로만 생각했지만 아무리 찾아도 NAT 설정은 없다.

숨어있는 네트워크 설정 도구

VMWare Player의 설치 파일에는 사실 Network 설정 유틸리티가 포함되어 있지만 어쩐 일인지 설치하게 되면 설치되지 않는다. 아마도 일부러 막아 놓은 듯 싶다.( 치사빤스다~~ )
설치 파일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e 옵션을 주어 설치파일을 실행하면 extract 라는 폴더에 모든 파일의 압축이 해제된다.

4.0 테스트 도중 위의 명령어에 오류가 발견되었습니다.   /e .\extract 와 같이 폴더명을 주어야 합니다.

 

해제된 폴더에 들어가보면 다음과 같이 VMWare Player가 설치될 때 필요한 셋업 파일들이 모두 보인다. 그중에서 network.cab 파일에 VMWare Network 설정 유틸리티가 포함되어 있다.

이 network.cab 파일을 알집으로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몇개의 파일이 보인다. 이 파일들을 VMWare Player가 설치된 경로에 압축을 해제하고 vmnetcfg.exe를 실행하면 NAT 설정을 할 수 있는 화면이 보이게 된다.

아래 화면과 같이 VMWare Player 설치 폴더에 압축을 해제하고 vmnetcfg.exe를 실행하면 Virtual Network Editor가 실행된다. 아래 화면은 vmnet 8번 가상 이더넷을 NAT용도로 설정한 화면이다.  (VMWare 에서는 항상 8번을 NAT용으로 기본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후의 설정 방법은 이전의 포스트와 동일한 내용이므로 생략한다.

아래의 포스트를 참조하기 바란다.

VMWARE에서 NAT를 통해 인터넷 사용하기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