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8/10 Hyper-V관리자에서 가상 스위치 만들기

앞의 포스트에서 Windows 8/10의 Hyper-V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보러가기)

하이퍼V를 이용해 만든 가상머신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Hyper-V 관리자에서 최초의 가상머신을 만들기 전에 가상 스위치 라는 것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가상 스위치에 생성된 이더넷에 IP도 부여해주어야 합니다.

먼저 아래와 같이 Hyper-V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그리고 화면의 왼쪽에 보이는 “작업” 화면에서 “가상 스위치 관리자…”을 실행합니다.

Windows 8/10 Hyper-V관리자에서 가상 스위치 만들기

가상 스위치 관리자에서 아래 화면처럼 “내부”를 선택하고 “가상 스위치 만들기”를 실행합니다.

Windows 8/10 Hyper-V관리자에서 가상 스위치 만들기

가상 스위치는 외부, 내부, 개인 세개의 유형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외부 : 브릿지 방식입니다. 노트북이나 컴퓨터에 물리적인 이더넷 포트와 대등한 가상 이더넷을 만듭니다. 따라서 노트북이나 컴퓨터의 이더넷 포트가 공유기에서 IP를 부여받을 때 여기서 만들 가상 스위치의 이더넷에도 IP를 추가로 부여받습니다. 이동이 잦거나 외부에서 가상머신을 통해 인터넷을 사용해야 한다면… 절대 외부를 선택하지 않아야 합니다.
  • 내부 : 노트북 내부에 고유의 가상네트워크를 만듭니다. 내부를 선택하면 여기서 만들어진 가상 스위치는 노트북 외부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집에 공유기를 설치하면 외부에서 공유기 안쪽에 존재하는 PC들을 스캔할 수 없듯이 노트북 내부의 가상 머신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습니다. 내부를 선택하면 노트북이 공유기 역할을 수행하여 노트북에 생성한 가상머신의 IP를 변경할 필요없이 외부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개인 : 내부와 마찬가지로 노트북 내부에 고유의 가상머신을 만들지만 외부로 나갈 수 없는 완전하게 폐쇄된 네트워크를 만듭니다. 따라서 노트북의 가상머신에서 노트북에 연결된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습니다.

확인을 누르고 다음과 같이 가상 스위치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Windows 8/10 Hyper-V관리자에서 가상 스위치 만들기

여기에서는 CUK 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리고 “내부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확인을 누릅니다.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해 가상 스위치를 만들면 아래 화면처럼 노트북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에 vEthernet (CUK) 라는 Hyper-V Virtual Ethernet Adapter가 생성됩니다.

Windows 8/10 Hyper-V관리자에서 가상 스위치 만들기

이제 노트북의 Wi-Fi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vEthernet(CUK)가 Wifi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공유 설정을 해줍니다.

Windows 8/10 Hyper-V관리자에서 가상 스위치 만들기

다시한번 설명하면 Wifi 어댑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그 연결을 vEthernet (CUK)가 이용하여 다음 포스트에서 생성할 가상머신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해주는 것입니다.

공유설정이 끝나면 vEthernet (CUK)에 사설 IP를 아래와 같이 부여합니다. 여기에서는 192.168.200.1 을 부여했습니다만 편한대로 부여하면 됩니다. 단, 다음에서 만들 가상머신에게도 같은 대역의 IP를 부여해주어야 합니다. (네 자리 중 끝자리만 다른 IP)

Windows 8/10 Hyper-V관리자에서 가상 스위치 만들기

여기까지 설정하면 Hyper-V의 가상 스위치 설정작업도 완료됩니다.

다음은 Windows 7 ISO 파일을 이용해 Windows 7 가상머신을 만들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계를 진행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