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캘린더는 기본적으로 음력일정의 반복을 지원하지 않는다.
때문에 두가지 정도의 반복되는 음력일정을 등록하는 방법이 있다.
첫번째는 구글API을 사용하여 음력일정을 반복적으로 등록하는 방법이다. 이는 하나의 일정에 “반복” 속성을 설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음력에 해당하는 양력날짜를 찾아 개별적인 일정을 매년 등록해주는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은… 비록 동일하게 음력에 해당하는 양력날짜를 찾아 매년 등록해주는 것은 동일하지만 구글API가 아니라 iCal 이라고 하는 일종의 표준 일정을 만들어 파일 업로드 방식을 통해 구글캘린더에 등록해주는 방법이다.
전자의 경우 어느 용자가 웹사이트를 만들어두고 음력일정을 등록하는 앱으로 구글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었는데…구글에서 불량앱으로 차단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웹사이트는 아직도 공개되어 있다.
그렇다면 남은 방법은 하나다. 바로 iCal 포맷의 일정을 만들어 등록하는 방법이다.
이것도 반복되는 음력일정의 iCal을 만들어주는 웹사이트가 존재한다.
아래와 같이 음력 기념일에 음력일자를 넣는다.

음력 기념일을 입력하고 옵션을 설정한 뒤 아래쪽에 있는 “일정 생성하기(실행)”을 클릭한다.

그러면 ICS 파일의 내용 : 에 입력된 음력날짜를 기념일 일정으로 등록하기 위한 iCal 일정이 생성된다. 그런 뒤 “ICS 파일 다운로드하기” 버튼을 눌러 iCal 일정이 담긴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이 다운로드 받은 iCal 파일을 구글캘린더에 등록하면 된다.
구글 캘린더로 이동한다. 그리고 캘런더 달력에서 톱니바퀴를 눌러 표시되는 “설정” 메뉴를 클릭한다.

“설정” 화면에서 왼쪽의 “가져오기/내보내기” 메뉴를 클릭하고 아래에 있는 “가져오기” 메뉴를 누른다.
그러면 오른쪽 화면이 “가져오기”로 바뀌면서 가져온 iCal 일정을 어느 캘린더에 추가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캘린더를 선택하고 위에 있는 “컴퓨터에서 파일 선택” 을 클릭한다.

“컴퓨터에서 파일 선택”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처럼 파일 열기 창이 실행된다. 앞에서 다운로드 받은 iCal 일정이 등록된 파일을 선택한다. 확장명은 ics 다.

iCal 파일이 선택되면 아래 화면과 같이 “가져오기” 버튼이 회색에서 파랑색으로 바뀐다.

iCal 일정이 정상적으로 선택한 캘린더에 등록이 되면 아래 화면처럼 몇개의 일정을 가져왔는지가 표시된다.

창을 닫고 다시 구글 캘린더 화면으로 들어가면 iCal에서 등록된 일정(기념일)이 보인다.

다음년도로 이동해보면 등록한 기념일 일정이 잘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글캘린더_음력일정 #음력ICS파일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