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로 여러개의 Windows 서버 이미지를 사용하다보면 오랫 동안 사용하지 않던 서버 이미지의 Administrator 패스워드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참 난감해진다. 그래서 방법을 찾아 봤다.
역시 스누피님의 블로그가 연결된다. 윈도 운영체제의 대단한 실력자…. 덕분에 비밀번호를 쉽게 초기화(비밀번호 없는 상태)할 수 있었다.
VMWare를 기준으로 다시 한번 재구성해 본다. 다른 부분은 스누피님의 블로그 글과 동일하다. 다만 VMWare에서 윈도 설치 이미지를 마운트하는 법이 추가되어 있다.
먼저 Administrator 패스워드를 잊어버린 VMWare 이미지를 선택하고 오른쪽 하단의 “Edit virtual …” 메뉴를 클릭한다.
VMWare 설정화면이 표시되면 “CD/DVD…”를 선택하고 부팅가능한 Windows 서버 운영체제의 ISO 파일을 선택한다. 가급적이면 해당 VMWare 이미지를 만든 CD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부팅 가능한 CD/DVD 이미지를 선택한 뒤 “Play …”를 선택하여 서버를 구동한다.
Play 시키면 아래와 같이 가상 머신이 초기화 되면서 부팅을 시작하는데 만약 CD/DVD 부팅 프롬프트가 보이지 않으면 “F2” 키를 눌러 바이오스로 들어가서 부트 디바이스 순서를 바꾸어 주어야 한다.
CD/DVD 부트 여부를 묻는 프롬프트가 보이면 “Enter”키를 눌러 아래와 같이 CD/DVD로 부팅한다. 사실은 VMWare 이미지를 만들 때 사용된 ISO 파일로 부팅하는 것이다.
잠시 부팅 과정을 지켜보면 아래와 같이 최초 윈도 설치 화면이 뜨게 된다. “다음” 버튼을 눌러 넘어간다. Windows XP/7 PE CD나 DVD 이미지로 부팅하였다면 이 화면에서 “Shift + F10” 키를 누르면 CMD 창이 실행되었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Windows 2008 설치 이미지의 경우 CMD가 실행되지 않았다. “복구” 모드로 진행하여 CMD 창을 실행하기 위해 “다음” 버튼을 누른다.
설치 화면이 보인다. 하지만 “지금 설치”를 누르면 안된다. 아래쪽의 “컴퓨터 복구”를 클릭하여 복구모드로 진행한다.
복구할 파티션을 선택한다. 그냥 Windows가 설치되어 있는 드라이브를 선택한 뒤 “다음”을 누른다.
복구 작업에 사용할 도구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한다.
명령프롬프트(CMD) 창이 실행된다. 기본적로 X: 드라이브가 표시된다.
이 단계에서 PC (혹은 노트북이 되겠다)에 USB 드라이브를 꼽는다. USB 드라이브에는 더~~아래에 보이는 recovery.reg 파일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파일의 내용은 이 글을 모두 보면 알게 된다. ^^
USB 드라이브가 PC에 인식이 되면 VMWare 하단의 아이콘 중 아래 화면처럼 작은 적색 박스가 표시된 부분의 아이콘을 마우스로 우클릭 한다. 그러면 팝업메뉴 창이 실행되고 “Connect …” 메뉴가 보인다. 그 메뉴를 클릭한다. (반드시 PC에 USB 메모리가 완전하게 인식된 뒤 실행하라)
VMWare Player가 뭐라~뭐라~ 궁시렁 거린다. 그냥 조용하게 입을 닫아주기 위해 “OK” 버튼을 클릭한다.
잠시 기다리면 VMWare에서 USB 메모리를 정상적으로 게스트OS에 인식시켰음을 알려준다. 인식이 안된다면 VMWare 이미지의 설정에서 USB 장치가 추가되어 있지 않았을 수 있으므로 조용히 Power를 Off 하고 USB 장치를 추가해준 뒤 다시 시도해 본다.
정상적으로 VMWare 이미지에서 USB 메모리를 인식했다면 아래와 같이 D: 혹은 E: 드라이브로 USB 메모리가 인식된다.
그리고 그 안에 Recovery.reg 파일이 보인다.
이 파일이 바로 레지스트리를 수정하여 SAM 파일의 Administrator 계정 비밀번호를 초기화할 오늘의 핵심 내용이다.
Recovery.reg 파일의 내용이다. 아… Hexa Code….. -.- 언제 봐도 머리가 아프다. -.-
Recovery.reg 파일이 준비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실행해준다.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다면 이제 CMD 창을 살포시 닫아주고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한다.
Administrator 비밀번호 없이 곧바로 로그인 될 것이다. 와우~~~~
이 방법은 Windows xp, vista, 7, 2003, 2008 등 현존하는 대부분의 Windows에서 적용 가능하다고 스누피님께서 말씀하셨다. ^^
Recovery.reg 파일은 여기에는 올리지 않겠다. 대신 스누피님의 블로그에 방문하여 다운로드 받기를 권해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