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Workstation으로 NAT 구성하기 (VMWare 5.5.1 or 6.0)
VMWare를 사용할 때 VMWare 내의 OS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VMWare의 네트워크 설정은 Brigde(브릿지)로 설정하여 추가적으로 IP를 할당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동이 잦은 노트북이나 가정에서 ADSL 혹은 광랜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추가적인 IP를 사용할 경우 추가적인 IP를 할당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사용상 제약이 따른다.
이럴 땐 VMWare의 NAT를 설정하면 VMWare상에서 실행 중인 가상 머신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PC가 속한 네트워크의 다른 서버로 접근이 가능하다.
VMWare의 NAT 설정작업을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1. VMWare가 설치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VMNet 어댑터가 활성화 되도록 한다.
이때 VMNet8번이 기본적으로 NAT에 사용되도록 지정되어 있으므로 그냥 8번을
NAT에 사용할 이더넷으로 가정한다.
2. VMNet8의 IP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게이트웨이와 DNS주소는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는 192.168.2.1을 지정하도록 한다. 192.168.2.0 네트워크에 대한 설정은 NAT에서 사용되므로 기억하도록 한다.
NAT 네트워크로 사용할 VMNet8 이더넷의 IP 설정을 마치고 VMWare를 기동한다.
3. Edit – Virtual Network Setting…” 메뉴를 실행한다.
4. “Host Virtual Network Mapping”메뉴에서 VMNet8의 오른쪽 꺽쇠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메뉴에서 “Subnet” 메뉴를 선택한다.
5. IP Address에 192.168.2.0 그리고 Subnet에 255.255.255.0을 입력한다.
다른 이더넷에서 해당 IP대역을 사용하고 있다면 IP가 매칭되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그럴 땐 다른 이더넷의 IP를 바꾸고 VMWare를 재기동하고 설정하면 정상적으로 입력이 된다.
다른 VMNet 이더넷에서 사용중일 때는 좀더 복잡하게 작업을 해야한다. 에러가 나면 머리를 굴려보기 바란다. ^^
6. “NAT” 탭으로 이동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게이트웨이 주소가 보인다.
아래화면은 192.168.2.X 대역으로 설정될 VMWare상의 가상OS에서는 게이트웨이를
192.168.2.2 로 설정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7. NAT를 사용할 VMWare의 가상OS를 로딩하고 Ethernet 설정을 “NAT”변경한다.
8. VMWare를 기동하고 “로컬 연결 영역”의 IP를 192.168.2.X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IP로 바꾸고 게이트웨이를 192.168.2.2로 설정하고 DNS주소를 PC에서 사용중인 DNS주소로 변경하면 인터넷이 가능하게 된다.
이 화면은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