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기본 런처의 화면 회전 구현 앱 (Adaptive Rotation Lock)

고해상도, 대화면의 스마트폰이 일상화 되면서 예전과는 달리 “가로모드”를 사용할 일이 많아졌다. 집이나 사무실에서 거치대를 사용하거나 Tmap 등 통신사 내비게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차량거치대 등에 폰을 거치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이다. 아마도 아래와 같은 모습이 될 것이다.

스마트폰 기본 런처의 화면 회전 구현 앱 (Adaptive Rotation Lock)

어디선가 서비스로 받은 거치대다. 이런 경우 대부분 가로로 거치하게 되며 충전포트가 아래에 있으므로 당연히 가로로 거치해야 충전케이블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사진에서 처럼 많은 스마트폰의 기본런처는 화면이 가로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내 노트2와 옵티머스LTE 등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기본 런처에서는 가로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물론 전화어플이나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등은 자체적으로 가로모드를 지원하긴 한다.

하지만 난 아래 화면처럼 기본 런처 상태에서도 가로모드가 지원되었으면 한다. 당연히 승용차에서 내비게이션을 사용할 때도 가로모드가 편하기 때문에 기본 런처에서부터 가로모드로 시작해야 깔끔(?)하지 않은가 말이다.

스마트폰 기본 런처의 화면 회전 구현 앱 (Adaptive Rotation Lock)

이 사진처럼 가로모드가 지원되니 얼마나 좋은가.. ㅎ..ㅎ..

이처럼 기본 런처에서 가로모드라는 기본적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앱을 하나 설치해야 한다. 도대체.추가 앱 없이 스마트폰에서 쓸 수 있는 기능은 무엇인가..?? 그 수많은 통신사 앱은 도대체 어디에 써먹는 물건인가 라는 의구심이 든다.

바로 “Adative Lotation Lock” 이라는 앱을 설치하면 기본런처에서도 가로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구글 플레이에서 “Adaptive Lotation Lock”을 검색하여 Free 버전을 설치하고 난 뒤 실행하면 위 화면의 좌측 상단 상태바에 있는 SKT 로고 바로 옆에 아이콘이 생긴다.

상태 바를 쓸어 내리면 아래 화면처럼 해당 앱의 설정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어있다.

스마트폰 기본 런처의 화면 회전 구현 앱 (Adaptive Rotation Lock)

모드를 “회전 자동 고정”으로 설정하면 그냥..자동으로 동작한다.

런처 화면에 끄집어낸 S캘린더 위젯도 가로/세로 전환 시 깨지지 않고 잘 보인다.

세로 모드에서의 S캘린더 위젯..

스마트폰 기본 런처의 화면 회전 구현 앱 (Adaptive Rotation Lock)

가로 모드의 S캘린더 위젯… (실제론 깨끗하고 선명하다.)

스마트폰 기본 런처의 화면 회전 구현 앱 (Adaptive Rotation Lock)

그럭 저럭 쓸만한 어플인것 같다. 노트2의 상태바에 있는 “자동회전”을 꺼놔도 기본 런처화면과 기타 앱들의 화면이 자동으로 회전되어 보여진다. 운영체제의 “자동회전” 모드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