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IME 인터넷 공유기 A2004ns plus의 IPDISK 사용기

집의 인터넷 공유기를 바꿀 때가 되어 어떤 공유기를 구매할까 고민하다 USB 메모리나 외장하드를 연결해 인터넷디스크 처럼 사용할 수 있는 A2004NS Plus로 결정했습니다. 결정한 다음날 어느새 인터넷 공유기는 제 손에 들려 있었습니다. 배달 천국…대한민국 입니다.

IPTIME A2004NS PLUS

이 공유기는 이렇게…생겼습니다.. 송신안테나 2개와 수신안테나 2개가 달린 형태입니다.

IPTIME 홈페이지에 있는 이 모델(a2004ns plus)의 하드웨어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펙
H/W 제품사양
주요사양
Network Storage Service with FTP, SAMBA, HTTP and ipDISK11AC /5GHz, 2.4GHz Dual band / 2Tx-2Rx 867Mbps WiFi / 기가비트4LAN 포트 유무선공유기 / 5dbi, 4ANT
CPU
리얼텍 RTL8197D (660MHz)
WAN Interface
1 x 10/100/1000Mbps WAN – 케이블 자동 감지
LAN Interface
4 x 10/100/1000Mbps PC Port – 케이블 자동 감지Jumbo Frame 지원 – 최대 9KByte
Wireless Interface
802.11 a/b/g/n/ac
Status LED
Power, CPU, 2.4G Wireless, 5G Wireless, WAN, LAN X 4, USB
DRAM
64 Mbytes
FLASH
8 Mbytes
안테나
5GHz 802.11ac/a/n ANT (2EA)2.4GHz 802.11b/g/n ANT (2EA)
크기
182.5 x 133.5 x 26 (unit:mm)
무게
336g
최대소비전력
24W
동작온도
섭씨 0 – 50도
전원
외장형 DC 어뎁터 (최저소비효율기준 만족제품)
색상
White

그리고 이 모델은 앞에서 언급한 대로 USB포트에 USB메모리나 외장하드를 연결하여 인터넷디스크(클라우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 랜케이블 연결단자 옆에 아래 사진과 같이 USB 포트가 달려있습니다.

이 USB  포트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규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네트워크 스토리지 사양
인터페이스
USB 2.0
서비스
FTP, SAMBA, HTTP, ipDISK
파일 시스템
FAT32, NTFS, EXT3

아쉽게도 USB는 2.0만 지원합니다. 하지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꽤나 여러가지 입니다. 단, HTTP가 지원된다 하여 아파치웹서버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IPDISK 설정

이 공유기를 설치하고 USB 메모리를 꼽으면 다음과 같이 “고급설정” 의 USB 저장장치에서 장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은 16G 용량의 USB 메모리를 꼽았을 때 정상적으로 인식된 화면입니다.

/HDD1 디렉토리에 마운트되고 사용 가능한 용량은 14.9G로 인식됩니다.

서비스 설정 메뉴로 가보면 사용할 서비스를 구동/중지할 수 있고…

ipDISK 주소관리 메뉴에서  IPTIME DDNS 기능을 통해 ipdisk.co.kr 도메인에 개인이 사용할 호스트네임을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iptime.org를 사용하는 IPTIME DDNS와는 다른 ipdisk.co.kr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게 됩니다. 등록법은 iptime.org의 DDNS 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등록합니다.

그리고 ipDISK 도메인주소 등록이 완료되면 서비스별로 구동/중지와 서비스별 접속 계정을 생성하게 됩니다. 각 계정은 읽기 권한만 주거나 읽기와 쓰기 권한을 모두 줄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디렉토리별 접근권한을 설정할 수는 없습니다.

만약 스마트폰의 IPDISK 앱이나 PC의 IPDISK 드라이브 기능을 통해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그 흔적이 남게 됩니다.

여기까지 설정하면 공유기에서의 설정은 완료 됩니다.

스마트폰의 ipdisk 앱에서 접속하기

구글의 플레이스토어에 가면 아래 처럼  ipDISK 앱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다운받아 설치 합니다. 제조사가 iptime이라고 되어 있어야 합니다.

ipdisk 앱을 설치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ipDISK 아이콘이 보입니다.

ipDISK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그리고 공유기 설정에서 등록한 ipdisk 주소와 계정, 그리고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되면 아래 화면과 같이 USB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파일이 보이고 다운로드, 업로드가 가능해 집니다.

PC에서 드라이브로 사용하기

IPTIME 홈페이지의 고객지원 메뉴에 가면 ipDISK의 PC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ipTIME ipDISK Drive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아래 화면처럼 프로그램그룹에 등록됩니다.

설치 한 뒤 ipTIME ipDISK Drive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 화면처럼 로그인 창이 보입니다. 정보를 입력한 뒤 “서버 연결”을 선택하면 공유기의 USB 메모리가 PC에서 드라이브 처럼 인식됩니다.

아래 화면처럼 드라이브로 인식되면 노트북에 있는 HDD 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매우 편리한 기능입니다.

물론 공유기에 연결한 USB 메모리를 FTP로 접속하여 파일 다운로드와 업로드를 할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HTTP 서비스를 활성화하면 업로드 된 파일의 URL 경로를 생성하여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로 지인에게 전송하고 전송받은 지인은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URL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는 URL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지금까지 최근 유행(?)하고 있는 인터넷 공유기의 NAS 기능 리뷰였습니다.

2015/02/17 비슷하지만 USB 3.0을 지원하고 CPU와 RAM의 스펙이 더 높은 공유기도 있습니다. 한번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어 소개합니다. (netis wf2881 기가인터넷공유기 리뷰)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