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햇 리눅스의 DVD를 구해 리눅스를 설치 했다면 정품을 구매하기 전까지는 yum 명령을 통해 신규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보안패치 혹은 패키지의 업그레이드를 할 수 없다. 하지만 궁하면 통하는 법이라 했던가…. 레드햇의 클론 OS가 CentOS이기 때문에 CentOS의 yum이 사용하는 리포지토리를 그대로 레드햇에 적용하면 패치나 설치되어 있지 않은 패키지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다.
RedHat 에서 CentOS의 yum Repository 적용하기
레드햇 리눅스가 설치되어 있다면… (난 레드햇 6.3을 설치 했다.)
root로 로그인 한 뒤 아래 화면처럼 /etc/yum.repos.d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이 디렉토리 안에는 yum이 실행될 때 업데이트 정보를 가져올 리포지토리가 위 화면의 노랑~ 네모 상자의 내용과 같이 정의 되어 있다. 이 내용을 CentOS의 리포지토리 정보로 바꿔치기 하면 된다.
다음과 같이 원본을 백업해 둔다. (혹시 나중에 필요할지도 모르므로….)
원본을 복사해 두었다면 다음과 같이 내용을 수정한다.
수정한 내용을 저장한 뒤 키를 Import 해야 한다.
이 때 URL에서 설치한 레드햇 리눅스가 32bit 라면 위의 화면처럼 i386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64bit 라면 i386을 x86_64로 변경하여 실행하면 된다.
정상적으로 리포지토리 설정이 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yum list 명령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위의 화면은 yum list 명령이 실행된 뒤 다시 실행했을 때의 화면이다. 최초 실행 시에는 yum이 패키지 목록을 가져오는 과정이 실행되며 스크롤바 형태로 진행상태가 표시된다. 이 최초 과정이 약간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