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공격적인 구글포토 서비스 런칭
구글은 연례 개발자 회의인 “Google I/O 2015″에서 파격적인 구글포토 서비스를 런칭했다. 일반적으로 SNS나 이미지 저장 서비스에서는 스토리지 구축과 운용의 부담으로 인해 이미지 파일의 크기를 제한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구글은 구글의 SNS인 Google +에 연동되어 있는 이미지 저장 서비스인 구글포토에서 고화질(1600만화소)까지는 무제한으로, 원본을 지정하면 15G까지의 이미지 저장용 클라우드를 무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구글플레이에서 “구글포토” 앱을 내려받으면 스마트폰에서 촬영한 사진을 편집하거나 원본 그대로 구글의 클라우드에 실시간으로 업로드할 수 있으며 PC와 동기화하 하는데 어려움이 없어진다.
구글의 구글포토…과연 노리는 것은 무엇일까..
구글의 1600만화소 이하의 이미지에 대한 무제한 업로드 용량 제공이라는 파격적인 이미지 클라우드서비스는 과연 무엇을 노리는 것일까? 그리고 원본 업로드 옵션을 선택할 경우 1600만화소 이상의 이미지는 15G로 제한하고 있다. 과연 이러한 옵션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현재까지 1600만 화소를 넘큰 카메라를 장착한 스마트폰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있어도 한두개..) 따라서 1600만화소 이상의 원본 이미지 저장 시 자동으로 사이즈가 축소되는 기능은 DSLR과 같은 비-실시간 업로드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어차피 엄청난 양의 스토리지가 필요할 텐데 궂이 제한을 하는 것은 이번 구글 포토 서비스의 숨겨진 목적과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구글의 비정형 데이터 검색 기술 (Image, Sound, Video)
구글은 문자열 검색과 같은 정형데이터 검색 이외에도 비정형데이터에 대한 검색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도 계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 일반 텍스트데이터에 대한 검색은 일반화되어 있다. 무료로도 제공되는 DBMS를 다운받아 설치하고 DB를 생성하고 테이블을 만들어 데이터를 저장한 뒤 SQL을 통해 조회하는 텍스트 검색은 그리 어렵지 않다.(어렵지 않을 뿐 DBMS는 운영체제 다음으로 복잡하고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SW다.) 하지만 이미지나 사운드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검색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거의 없다.
가장 대표적인 비정형 데이터의 검색은 바로 이미지 검색이다.
인터넷에서 유사 이미지를 찾아주는 이 기술은 섬네일 이미지를 갖고 원본이미지를 찾을 때… 또는 특정 인물의 사진을 찾을 때 그 위력을 발휘한다. 이미지 검색 말고도 구글은 유튜브에 동영상을 업로드하면 동영상내의 음악을 검색하여 저작권이 있는 음악이 있을 경우 해당 음악을 소거하는 “Sound Searching”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이미지에서 추출해 낼 수 있는 정보
몇년 전…구글은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정보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지 의심을 받는 사건이 있었다. 당시에는 문서였기에 문서의 내용을 무단으로 사용할 경우 구글에 항의할 수 있었고 많은 개선을 이끌어 냈다. 하지만 이미지는 상황이 많이 다를 것으로 생각된다.
이미지에는 문자 형태가 아닌 많은 정보들이 담길 수 있다.
이미지에는 사진을 촬영한 장소와 시간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게다가 배경에 존재하는 전 세계 모든 국가의 “실시간 상황”이 담겨 있다.
사진이 찍힌 곳의 날씨…
사진이 찍힌 관광지의 관광객 수…
스포츠 경기장의 실시간 상황…
어디에서 어떤 행사가 열리는지..
어떤 유명인이 참석했는지..
사건, 사고 현장의 상황…
등등 이미지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시간 정보는 가히 무궁무진하다.
구글이 구글포토에 실시간으로 업로드하는 사진들을 분석해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는 이러한 정보를 분석하여 2차, 3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할 경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구글의 목표는 무엇일까…
구글은 과연 엄청난 실시간 정보가 담긴 이미지를 쌓아두고 아무런 활용도 하지 않을까? 그러리라고 상상하긴 쉽지 않다. 아마도 구글포토의 약관에도 이러한 내용은 담겨져 있지 않을 뿐더러 사실 어느 이미지에서 추출해냈는지를 입증하지 않는 한 구글이 구글포토에 업로드 된 이미지에서 정보를 추출해내도문제를 제기하기는 쉽지 않아보인다.
구글은 보다 정교한 이미지 검색 기술과 사운드, 동영상 검색기술의 개발에 매진하고 있을 것이다. 이미 이미지 내에 포함된 동물과 사물을 식별하는 수준은 뛰어 넘었으며 아마도 “상황”까지도 검색이 가능할지도 모른다. 사진을 촬영할 당시의 날씨는 어떤지, 장소는 야구장인지, 축구장인지 등 까지 말이다.
구글은 아마도 전 세계에서 업로드 되어지는 수 많은 이미지를 통해 무언가 새로운 구글만의 새로운 검색 생태계 구축을 꿈꾸는지도 모르겠다. 이미 텍스트 기반의 검색 시장을 석권하다시피 하고 있는 구글이 실시간 검색(real world searching)이라는 새로운 검색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은 아닐지 모르겠다.
구글이라면 도전해 볼 만 하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