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예전에 올렸던 VMWare Player에서 NAT를 설정하여 인터넷 접속을 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트(보러가기)를 정말 많은 분들이 검색으로 보고 갔습니다. 그리고 엊그젠가 VMWare가 아닌 MS의 Hyper-V를 활성화 하는 방법을 올렸습니다.

Hyper-V도 VMWare와 마찬가지로 이동 시 가상머신의 IP를 변경하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NAT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하지만 윈도의 Hyper-V는 따로 NAT 설정을 해주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대신 Host 컴퓨터의 네트워크 카드(이더넷)의 “인터넷 공유설정”을 통해 Guest 컴퓨터가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즉 Host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이 바뀌어 IP가 바뀌어도 Guest 컴퓨터의 설정 변경없이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죠.

저 처럼 외부에 나가 데모(시연)을 할 일이 많은 사람에겐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그 방법을 지금부터 설명합니다. 화면이 좀 많습니다.

1. Hyper-V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오른쪽 “작업” 창에[가상 스위치 관리자…] 메뉴가 보입니다. 클릭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2. 가상 스위치 관리자가 보입니다. 오른쪽 [가상 스위치 만들기] 창에서 [내부]를 선택하고 하단의 [가상 스위치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3. [이름]을 입력합니다. 전 Hyper-V-Switch라고 입력했씁니다. 그리고 하단의 [연결 형식]에서 [내부 네트워크]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나서 [적용] 이나 [확인]을 누릅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4. 적용을 누르면 창이 사라지지 않고 왼쪽 창에 Hyper-V-Switch 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확인]을 클릭해 창을 닫습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5. 다음은 Host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연결] 창을 엽니다. 가장 상단에 조금전에 Hyper-V 관리자의 스위치 관리자에서 만들었던 이터넷이 보입니다. vEthernet (Hyper-V-Switch)가 그것입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6. 현재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Wifi 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보이는 팝업메뉴창에서 “속성”을 클릭합니다. 인터넷이 연결된 랜 네트워크의 인터넷 공유 설정을 위해서 입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7. 아래 화면처럼[공유] 탭으로 이동하여 인터넷 연결 공유에 V 체크를 해주고 [홈 네트워킹 연결]에서 vEthernet(Hyper-V-Switch)를 선택해줍니다. 즉 Hyper-V에서 생성한 vEthernet을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뜻입니다.[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때 이상한 IP로 세팅한다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무시합니다. 그 메시지는 vEthernet의 IP를 윈도가 맘대로 바꾼다는 뜻입니다. 다음 화면에서 다시 우리가 원하는 IP로 변경해주면 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9. 다시 네트워크 연결 창으로 돌아오면 인터넷이 연결된 Wifi 네트워크에 “공유됨” 이라는 상태가 표시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10. vEthernet 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팝업 메뉴를 실행시킨 뒤 [속성]에 다시 들어갑니다. 그리고 아래 처럼 [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v4) 의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긜고 IP를 192.168.210.1로 변경합니다. 가상머신에서도 이 IP대역으로 IP를 맞춰주면 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11. 이제 다시 Hyper-V 관리자로 돌아와 설치해 둔 가상머신을 실행시킵니다. 여기서는 우분투 15.x 버전입니다. Guest 컴퓨터인 가상머신을 [시작]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12. 우분투 가상머신이 실행되었습니다. 로그인 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13. 로그인 한 뒤 상단 우측을 보면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와이파이 표시를 클릭해 아래와 같이 팝업 메뉴를 호출한 뒤 [Edit Connections…]을 클릭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14. 네트워크 커넥션 정보 창이 실행됩니다. 최초엔 아무것도 없습니다. [Add]를 클릭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15. 등록할 커넥션 타입을 지정합니다. [Ethernet]을 선택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16. [Ethernet] 탭에서 [Connection name]에 전 Coffee Bay 라고 입력했습니다. 집근처 단골 카페 이름입니다. 종종 이용합니다.. ^^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17.옆의 [IPv4 Settings]로 이동합니다. IP와 Netmask, Gateway를 입력합니다. Gateway가 아까 앞에서 만든 가상 스위치인 vEthernet(Hyper-V-Switch)의 IP입니다. 그리고 Host컴퓨터의 Wifi를 통해 인터넷으로 나갈 수 있도록 설정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DNS도 설정해 줍니다. [Save]를 클릭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18. 저장된 Ethernet 네트워크가 보입니다. 이름은 Coffee Bay입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19. 이제 화면 상단의 신호세기 표시 아이콘을 클릭하면 조금전에 생성하 네트워크인 Coffee Bay가 보입니다. 만약 Enable Networking이 체크되어 있지 않다면 체크하여 네트워크를 Enable 시키면 Coffee Bay가 보입니다. 자동으로 Coffee Bay에 접속하거나 자동 접속되지 않는다면 Coffee Bay를 클릭하여 접속합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20.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다음과 같이 Connection Established 메시지가 표시되면서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21. FireFox를 실행시켜 다음 포털에 접속한 화면입니다.

Windows 8의 Hyper-V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접속하기)

만약 유선랜을 연결하였다면 유선랜도 인터넷 공유를 설정해주면 Guest컴퓨터인 우분투의 설정 변경없이 바로 인터넷이 연결됩니다. VMWare의 NAT 설정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안 취약점 점검을 하는 보안 엔지니어들이 칼리리눅스를 설치 해 여기저기 다른 곳에서 취약점점검을 한다든가 프리세일즈 엔지니어들이 윈도나 다양한 리눅스 용 솔루션을 설치해 시연을 하러 다니는 등 이동이 잦은 경우에 필수적인 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