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포스트에서 Hyper-V를 활성화하고 가상머신에서 인터넷 연결을 위해 가상 스위치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보러가기)
이 가상 스위치는 Hyper-V 기능을 이용해 Windows 운영체제 내에 가상의 머신(Virtual Machine)을 만들고 운영체제를 설치 했을 때 그 가상머신(이 가상머신을 Guest OS라고도 함)이 호스트(가상머신이 만들어지기 전의 운영체제를 Host라고 함)의 네트워크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가상의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이제 Windows 7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합니다.
먼저 Hyper-V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아래 화면처럼 “새로 만들기” 메뉴에서 “가상 컴퓨터(M)”을 선택하여 실행합니다.
가상 컴퓨터 만들기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마법사가 시키는 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참…편합니다.
가상 컴퓨터 이름으로 CUK를 지정했습니다. 그리고 가상 컴퓨터가 사용할 경로를 지정합니다. 공간이 충분한 위치를 지정하라고 친절하게 경고하고 있죠. 최소 10G 이상 여유가 있는 곳을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치할 운영체제의 종류와 가상 컴퓨터에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하느냐에 따라 공간의 최소 필요량은 다릅니다.
가상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상머신의 유형이 1세대와 2세대로 나뉩니다. 노트북이 UEFI 펌웨어이고 설치하려는 가상머신이 모두 64bit 라면 2세대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는 그냥….1세대를 선택했습니다. 32bit 윈도를 설치할 거거든요.
가상머신이 사용할 메모리(RAM)의 양을 지정합니다. 제 노트북은 8G 램이므로 2G 정도를 가상머신에게 할당합니다.
다음에서는 연결…즉 어떤 가상 스위치를 지정할지를 정합니다. 나중에 변경도 가능합니다. 앞의 포스트에서 CUK라는 가상 스위치를 만들었습니다. 그 스위치를 선택합니다.
가상머신이 저장될 가상 하드디스크의 크기를 선택합니다.
다음은 가상머신을 설치할 운영체제 미디어를 선택합니다. CD드라이브에 설치할 운영체제 CD나 DVD를 넣었다면 실제 CD/DVD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ISO파일을 갖고 있다면 아래와 같이 해당 ISO 파일을 선택해줍니다.
현재까지 선택한 가상머신 설정을 확인합니다. 마침을 누르면 가상머신이 만들어집니다.
아래와 같이 CUK라는 가상 컴퓨터가 만들어졌습니다. 가상스위치 이름도 CUK고 가상 머신이름도 CUK입니다. 이름은 같아도 관계 없습니다. 여기까지 진행된 이 가상머신은 부팅되지 않고 꺼져있는 상태입니다. 그 가상머신을 켜기 위해서는 CUK 가상 컴퓨터를 선택하고 오른쪽 아래에 보이는 “시작”을 선택해야 합니다.
“시작”을 누르면 아래 화면처럼 검은 화면이 작게 표시됩니다. 그리고 가상 컴퓨터 CUK의 상태가 “실행 중”으로 바뀌고 CPU 사용율과 사용중인 메모리의 용량 그리고 작동 시간이 표시됩니다. 화면은 어디 있냐구요???
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종료” 버튼 위에 보이는 “연결…”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연결…” 버튼을 누르면 아래 화면처럼 가상 머신의 실제 실행화면이 보입니다. Windows 7 설치 화면이 떠있죠? 위에서 설치용 ISO 파일을 선택해 두었기 때문에 해당 ISO 이미지로 부팅되어 설치 화면이 표시된 것입니다. 여기서부터는 Windows 7 설치 과정과 동일합니다.
다음과 같이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리부팅이 되고 설치된 Windows 7으로 부팅됩니다.
그 다음에 할일은 네트워크 설정입니다.
다음과 같이 가상머신에서 이더넷 설정으로 들어가 앞에서 지정한 가상 스위치의 이더넷인 vEthernet (CUK)와 동일한 대역의 사설 고정 IP를 지정하면 됩니다.
앞에서 가상 스위치의 vEthernet (CUK)에 192.168.200.1 을 부여했습니다. 이 IP와 동일한 대역의 IP인 192.168.200.10 을 가상머신인 Windows 7에 부여한 화면입니다. 그리고 DNS도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여기서는 KT의 DNS 주소를 입력하였습니다.
위와 같이 설정을 완료하면 Hyper-V에 설치한 Windows 7 가상머신에서 인터넷이 가능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