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무선으로 연결하기 (LG U+ tvG)

— 2017.05.18 —

최종 테스트 결과를 맨 하단에 추가했습니다.

——————–

이사를 했습니다.

아이들의 학교와 동네친구들 등 여러 현실적인 문제, 그리고 추가 투자 대비 효과(??)가 떨어지는 최악의 가성비라는 더욱~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그냥 지금 살고 있는 아파트에서 조금 넓은 평수이자 남향인 옆동으로 이사를 했습니다.

아파트가 꽤나 오래된… 20년을 훌쩍 넘긴지라 새로 구입한 집은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리모델링이 끝나고 인터넷 회선을 이전하는데 큰 문제에 봉착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인터넷과 IPTV는 LG유플러스의 tvG 입니다. TV가 거실에 있으므로 당연히 인터넷 회선이 거실의 통신단자로 들어올 수 있으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만… 아래 처럼 거실에 거실장을 붙박이로 시공했는데 인터넷 회선이 거실이 아닌 딸아이가 사용하는 작은방으로 밖에는 들어올 수 없었습니다. 오래된 아파트의 공통적인 문제라고 합니다.

거실 붙박이장 리모델링

이사하며 새로 시공한 거실 붙박이장

무척 난감한 상황이었습니다. LG 유플러스의 친절하신 기사분과 함께 일반전화의 국선라인을 따라 랜케이블을 끌어낼 수 있는지 확인했습니다만…. 벽에 매설된 케이블은 아무리 당겨도 꿈쩍하지 않아 랜케이블의 포설은 불가능했습니다.

결국은 천정으로 케이블을 끌어야 하는데… 저 거실장에 구멍을 내는건…도저히..도저히…용납이 안되더군요. 그래서 작은 방에서 무선으로 셋탑까지 연결할 수 있냐고 물었지만 “해본적이 없다”는 답변이고 “안될것이다”라는 답변밖에는 들을 수 없었습니다.

그쯤에서 또 오기가 생기더군요.(이거…직업병이에요.. ㅋㅋ ^^) 컴으로 밥먹고 사는 사람으로서 이런 문제를 포기할 수는 없었죠. 그래서 도전했습니다.
현재까지 사용하던 집안 네트워크 구성

이사 전 까지 사용하던 집안의 네트워크 구성입니다.

LG U+ 인터넷/tvG 구성

LG U+ 인터넷/tvG 구성

CAPL-6000 으로 인터넷 회선이 들어오고 셋탑으로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했고 A2004NS 공유기로 한 회선을 빼어 NAS를 연결했습니다. 그리고 이중NAT를 통해 NAS에 공인IP를 부여하여 DNS에 등록하여 외부에서 파일서버 및 웹서버로 이용했습니다. NAS는 현재 My Book Live에서 Synology DS214Play로 바뀌어 있네요.

그리고 공인IP는 웬만해서는 바뀌지 않아 DNS를 변경해주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이렇게 집안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은 “이중NAT를 통한 DDNS사용하기” 포스트를 참고하세요.

이제 저 그림에서 CAPL -6000과 tvG 셋탑박스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CAPL-6000은 인터넷이 들어오는 큰 딸의 방에 두고 tvG 셋탑박스는 거실에 두어야 합니다.

tvG 무선으로 연결하기 – 첫번째 시도

CAPL-6000rhk tvG 셋탑박스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테스트를 해본 결과… CAPL-6000과 tvG 셋탑박스 사이에 두개의 공유기가 필요합니다. -.- 처음엔 tvG셋탑박스 쪽에만 공유기를 달고 WAN을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받아들이도록 변경한 뒤 랜포트에 tvG 셋탑박스를 연결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말이죠.

LG U+ tvG 무선 연결 1차 시도 구성도

tvG 무선 연결 1차 시도

위 그림이 첫번째로 시도한 망 구성입니다.

즉 인터넷이 들어오는 작은 방의 CAPL-6000의 Wifi 출력을 거실에 설치된 공유기(NETIS WF-2881)에서 무선랜(wifi)을 WAN으로 잡아 랜포트를 통해 tvG셋탑으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구성하면 셋탑이 무한 버퍼링에 빠지는 듯 합니다. 즉, 속도가 안나는 것이죠. CAPL-6000의 무선랜은 802.11b/g/n을 지원합니다. 802.11n의 경우 이론상으로는 600M까지 속도를 낼 수 있지만 LG U+에서 제공한 CAPL-6000은 Wifi 출력이 2.4Ghz 대역만 지원하고 속도도 그닥….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1차 시도는 실패였습니다.

그래서 CAPL-6000과 tvG셋탑박스 사이에 Wifi 속도가 더 빠른 공유기를 추가 투입했습니다.

tvG 무선으로 연결하기 – 두번째 시도

아래 그림과 같이 CAPL-6000과 IPTIME A2004NS 공유기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첫번째 시도와 다른 점입니다.

LG유플러스 인터넷 TV 무선연결 2차 시도 구성도
유플러스 tvG 무선연결 두 번째 시도

 

첫 번째 시도에서 CAPL-6000의 미약한 무선속도 때문인지 아니면 WF2881과의 IGMP 프로토콜 호환성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무한 버퍼링으로 인해 실패했기 때문에 A2004NS와 WF2881의 무선 연결은 5Ghz의 주파수대역과 802.11ac의 고속으로 연결했습니다.

결과는 성공입니다.

일단 연결이 되면 화면이 끊김없이 잘~~~됩니다.

거실장의 모습입니다.

무선으로 연결된 LG유플러스 IP TV
무선 공유기와 연결된 LG유플러스 tvG 셋톱박스

 

LG U+에서 제공하는 CAPL-6000 공유기가 있어야할 자리를 netis wf-2881 공유기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wf-2881의 인터넷 회선 자리는 아무것도 꼽혀있지 않고 무선랜 5G 안테나가 WAN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wf-2881의 랜포트와 tvG의 랜포트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WDS와 무선 WAN

앞의 두번째 시도처럼 A2004NS 공유기에 WF-2881 공유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두가지가 가능합니다. WDS와 무선WAN 방식인데요. 두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공유기가 있는 반면 하나만 지원하는 공유기도 있습니다.

WDS는 두 공유기가 동일한 IP대역을 갖는 반면 무선WAN 방식은 두 공유기가 서로 다른 IP대역으로 설정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WDS는 L2 레이어에서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것으로 보이고 무선 WAN은 L3 Layer에서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방식입니다. 서로 장단점이 있습니다만 지금 두가지 방식으로 모두 테스트 중입니다. 처음엔 무선 WAN으로 연결했습니다만 조금 불안정??한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그래서 WDS 방식으로 테스트 중입니다.

남아 있는 문제점

일단 무선으로 LG U+의 tvG 시청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있는데요. 일단 거실의 WF2881 공유기를 꺼넣을 경우 TV시청을 위해 tvG셋탑박스와 WF2881 공유기를 켜면 연결되는데 1분 가량을 기다려야 합니다. 즉 wf2881이 부팅되고 A2004NS의 5G Wifi와 연결되는 시간과 이후 tvG셋탑박스가 tvG 방송과 연결되는데 꽤 긴 시간이 걸립니다.

이 문제는 일단 셋탑박스에 연결되는 WF2881 공유기를 항상 켜 놓는 것으로 어느정도 해결했습니다. 즉 A2004NS와 WF2881 공유기가 항상 연결되어 있도록 하여 tvG 셋탑에 전원이 들어오면 곧바로 tvG에 연결되도록 하는 겁니다.

또 하나의 문제는 tvG 연결 후 채널 변경 시 Delay가 발생합니다. 채널을 변경할 때 약10초 정도 소요됩니다. -.- 이 또한 치명적인 문제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느 채널로 변경할지를 채널 목록이 나오게 한 뒤 스크롤해 한번에~~~ 채널을 변경하여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 두번째 문제는 A2004NS와 WF2881의 IGMP 프로토콜 호환성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WF2881을 IPTIME의 비슷한 공유기로 바꾸면 해결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아직 시도해보지는 않았습니다. 시간이 되면 한 번 시도해 볼 생각입니다.

— 2017.05.18 추가 —

마지막 시도~~ 그리고 성공 !

LG유플러스 공유기와 tvG셋탑박스 사이에 무선확장구간을 만들기 위해 들어간 공유기가 처음엔 IPTIME A2004NS plus와 NETIS WF-2881 이었습니다. 이 조합에서는 무선확장설정을 어떻게 하든 tvG의 채널변경이 너무 느렸습니다.

그래서 기존에 사용하던 A2004NS plus와 가장 유사한 IPTIME A2004NS-R 공유기를 하나 추가로 구매하여 NETIS 공유기를 대체했습니다. 당연히 두 공유기의 펌웨어는 동일한 버전으로 맞춰줬구요. 둘다 WDS 구성을 했습니다. (설정법은 IPTIME 홈페이지에 있음) 결과적으로 화면도 거의 끊김이 없고…(아주 간간히 부분부분 화면이 뭉개지긴 하는데 문제되지 않는 정도) tvG의 채널전환도 유선때 만큼은 아니지만 차이를 느끼기 힘들정도로 빠르게 전환이 됩니다. 그리고 일주일 정도 사용해본 결과 안정성도 문제 없습니다.

결국… 공유기간의 속궁합(?)이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아무리 TCP/IP, IGMP 등의 표준 프로토콜을 준수한다 하더라도 프로토콜의 세부 규격과 추가로 제조사마다 지원하는 자체 규격이 잘 맞아야 최적의 성능을 내는 것 같습니다.

LG유플러스의 tvG를 무선으로 연결하는데 성공했음을 보고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