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사상에 찌든 중국인들의 오만함 – 중국 판다컵 U-18 대회

중국인들의 뇌리에 박혀있는 “중화사상”이 그야말로 역사적 오만함의 극치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야말로 세상의 중심은 중국이며 세상 사람들은 중국을 따라야 한다는 오만한 역사관이다.

얼마 전 이름도 난생 처음 들어본 “판다컵”이라는 U-18 축구대회에서 우리나라 U-18 대표팀이 우승하고 세레머니 도중 우승컵에 발을 올리고 사진을 찍어 중국 축구팬들이 중국에 대한 모욕이라며 인터넷 상에서 난리를 치고 있다는 뉴스를 봤다.

뉴스를 보며.. “판다컵 이라니?? 처음들어 보는 대회인데?”라는 생각을 했다.

알아보니…판다컵은 삼국지에서 유비가 세운 “촉”나라의 수도인 “청도”(요즘은 청두라고 부른다.”에서 주최하는 4개국(중국, 한국, 뉴질랜드, 태국)이 참가한 U-18 대회다. 그냥 중국의 지방정부가 주최하는 “듣보잡” 청소년 국제 축구대회다. 솔직히 뭐하러 이런 대회에 나갔는지 이해가 가진 않지만…

문제는 리그전으로 3게임을 치룬 뒤 우승하고 우승컵을 받은 뒤 세레머니하면서 찍은 사진이 문제가 되었다.

바로 이 사진이다.

중화사상에 찌든 중국인들의 오만함 - 중국 판다컵 U-18 대회

우승컵에 발을 올리고 있다.

순간.. “조금 무례하긴 하네..”라는 생각을 했지만 가끔 외국의 대회에서 우승컵으로 세레머니를 하면서 발을 올리거나 깔고 앉는 시늉을 하는 사진들을 봤던 기억이 있어서 뭐 시간이 지나면 잠잠해지겠지…라고 생각했는데..

중국의 네티즌들과 대회를 주최한 단체의 대응이 정말 가관이었다.

“중국 축구를 무시하는 행동이다.” 라거나…

“중국을 무시하는 빵즈들을 쳐부서야 한다”라거나..

“빵즈들의 오만함이 극에 달했다. 빵즈들을 중국에서 몰아내야 한다” 등등등… 과격한 말들이 오갔다. 단순히 인터넷에서만 문제가 된것이 아니라 현장에서도 문제가 되었었나 보다. 선수들이 단체로 사과문을 낭동하고 허리숙여 사죄하고 대한축구협회가 입장문을 내며 유감까지 표하는 사태로 발전되었다.

중화사상에 찌든 중국인들의 오만함 - 중국 판다컵 U-18 대회

어린 선수들이 빠르게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모습이다.

그렇다면 이것이 그렇게 큰 잘못인가? 축구 대회의 우승컵이 그렇게 중국의 자존심이라면.. 그 자존심을 자국 팀이 빼앗긴 것이니 중국의 U-18 선수단은 얼마나 큰 잘못을 저지른 것인가? 자국의 자존심을 다른 나라 팀에게 빼앗긴 것인데…

사실 국제대회에서 우승하게 되면 우승컵을 갖고 다양한 세레머니를 하곤 한다. 뉴스에 나온 몇몇 사례를 모자.

아래 사진은 2017년 맨유 소속으로 유로파리그에서 우승한 뒤 즐라탄이라는 선수가 우승컵에 발을 담그고 찍은 사진이다. 유로파 대회를 지배했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해외에선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중화사상에 찌든 중국인들의 오만함 - 중국 판다컵 U-18 대회

아래는 라모스가 2018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한 뒤 우승컵을 발로 밟고 찍은 사진이다.

중화사상에 찌든 중국인들의 오만함 - 중국 판다컵 U-18 대회

다음은 2017년 챔피언스리그 우승 후 선수들의 가족이 아이들을 아예 우승컵에 넣고(?) 찍은 사진이다.

중화사상에 찌든 중국인들의 오만함 - 중국 판다컵 U-18 대회

최신의 사진을 하나 보자. 이번 6월1일 우승한 리버풀의 핸더슨이다. 아예 비행기 안에서 우승컵에 발을 올려놓고 사진을 찍어 인스타그램에 올렸다고 한다.

중화사상에 찌든 중국인들의 오만함 - 중국 판다컵 U-18 대회

아마도 중국인들의 이러한 과민 반응은 축구에서 자국의 성적이 형편없는 “열등감”을 우리나라의 U-18 선수들이 건드렸고 그 열등감이 폭발하며 과격하게 반응하는 것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어디 오랑캐가 중국 대회의 우승컵에 발을 올리나?”라는 중국의 오만한 중화사상이 그 발로 중 하나다.

결국 판다컵 조직위원회는 우리나라 U-18팀의 우승컵을 몰수했고 우승자격 마저 박탈했다고 한다.

중국의 오만한 중화사상… 언젠가 한.중.일 3국의 심각한 분쟁 혹은 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역사관이 아닐 수 없다. 중국이 글로벌 시대에 맞춰 중화사상을 버리고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지 않고 이웃국가들을 조공국가 정도로 생각한다면 중국인들은 사상적, 정서적으로 고립될 수 밖에 없고 결국 분쟁이나 전쟁을 치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