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P100 으로 노트북을 통해 인터넷 직접 접속하기(HSDPA)

GB-P100은 3G(HSDPA) 데이터 통신이 지원되는 휴대폰이다. 무선 이동 데이터통신 규격인 HSDPA는 Wibro보다 빠른 속도를 지원하고 3G 망을 전국적으로 지원하는 SKT와 KTF를 통해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음성통신 기능이 없는 별도의 HSDPA 모뎀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3G가 지원되는 휴대폰에서는 노트북과 휴대폰을 데이터통신케이블을 연결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요금에 주의하여야 한다.

내가 사용하는 GB-P100 PDA폰은 아래의 요금제를 이용하면 유용하게 3G망을 이용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 쇼우~ 데이터 상한 요금제.==

“기타유의사항”에 보면 “인터넷직접접속 1.3원”이라는 문구가 보인다. 이 요금제를 사용하면 50000원/2.6원(kbyte당) = 19230Kbyte 가된다. 즉 200Mbyte까지 노트북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사실 좀 비싼편이다.

[“기타유의사항”에 보면 “인터넷직접접속 1.3원”이라는 문구가 보인다. 이 요금제를 사용하면 50000원/2.6원(kbyte당) = 19230Kbyte 가된다. 즉 200Mbyte까지 노트북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사실 좀 비싼편이다]

이 요금제가 3G망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에도 해당된다는 것을 찾다 보니… 아래족에 “인터넷 직접 접속 1.3원” 이라는 것 하나 뿐이었다. 너무도 꼭꼭 숨겨놓는 치사한~ 통신사들…

요금제에 가입이 되었다면 이제 PDA폰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먼저 USB케이블 혹은 블루투스로 연결하고 ActiveSync로 동기화를 한 뒤….


위의 화면 과 같이 P100의 “프로그램”에서 “전화 관리자”를 실행하고 “인터넷 공유”를 실행한다.

인터넷 공유 창이 실행되면 아랫쪽의 “연결” 을 누른다. 그러면 윈도 윗쪽의 안테나에 H 표시가 나타나면서 인터넷에 연결된다. 그 순간  아래 화면과 같이 “Windows Mobile based Internet Sharing Device”라는 네트워크 이더넷이 생성되면서 컴퓨터가 인터넷에 자동으로 연결된다.

단, 이러한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P-100이가 액티브싱크가 가능한 상태여야 한다. Windows XP의 경우 Active Sync 4.5를 설치하면 되고 Vista의 경우 “Windows Mobile Device Center”를 별도로 설치해주어야 한다. Vista의 기본 프로그램은 제대로 Windows Mobile을 인식하지 못한다.

위와 같이 인터넷 공유 관련 디바이스가 생성되면 이제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다. 별도로 IP를 설정할 필요도 없고 별도의 설정을 해줄 필요도 없다.

필자는 P-100에 Windows Mobile 6.1로 롬을 업그레이드 하였으며 이전 버전과 마찬가지로 인터넷 연결이 훌륭하게 수행된다. 개인적으로는 Wibro보다 안정적이고 실내외 모두 잘 연결이 되어서 좋고 속도도 빠른 것 같다고 느꼈다.

어떤 분들은 Show 데이터 상한 요금제(월 1만원)가 노트북을 통한 인터넷 직접 접속이 안된다고 하시는데 실제로 인터넷 직접 접속도 해당이 된다. 본인은 PDA에서 인터넷을 사용한 적이 없고 노트북을 통해서만 사용했다.2009년 6월의 어느날…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