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머니페이에서 알뜰교통카드 사용 후기

제로페이-알뜰교통카드가 티머니페이-알뜰교통카드로 변경되었습니다. —–2022년 5월 현재 ——–

지금은 모바일 캐시비를 알뜰교통카드에 등록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3년 04월 현재–

광역알뜰교통카드는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일부를 페이백 받을 수 있는 최고의 교통카드다. 그래서 사용하고 싶었지만… 안타깝게도 스마트폰의 NFC를 이용한 교통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반드시 일부 신용카드사에서 독점으로 발급하는 광역알뜰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발급받아야 했다. 하지만 내가 주로 사용하는 신용카드에는 광역알뜰교통카드 기능을 넣을 수 없어서 사용을 포기했었다.

실물 광역알뜰교통카드
실물 광역알뜰교통카드

그러다… 지난 포스트에 작성했던 “티머니페이” 앱에 제로페이와 제휴한 광역알뜰교통카드를 등록할 수 있는 것 같아 테스트를 해보니 매우 성공적으로 광역알뜰교통카드를 티머니페이 앱에서 발급받아(제로페이 겸용) 대중교통요금 결제에 사용할 수 있었다.

일주일간 사용해본 후기를 포스팅해본다.

광역알뜰교통카드란?

광역알뜰교통카드는 그냥 티머니나 캐시비와 같은 교통카드다. 그런데 여기에 광역알뜰교통카드 앱과 함께 사용하면 최대 30%까지 대중교통이용요금을 페이백해주는 파격적인 교통카드다.

광역알뜰교통카드 개요
광역알뜰교통카드 개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전 걷는만큼! 자전거 타는 만큼! 할인과 마일리지를 적립해주는 파격적인 교통카드인 것이다. 이 교통카드를 이용해 할인과 적립을 받으려면 다음에 등장하는 “광역알뜰교통카드 앱”을 설치해야 한다.

광역알뜰교통카드 앱
광역알뜰교통카드 앱

다만 출근을 위해 집에서 나갈 때 그리고 회사에 도착한 직후 광역알뜰교통카드 앱의 화면에 보이는 “출발하기”와 “도착” 버튼을 확실하게 눌러줘야 한다. 이 버튼을 눌러주면 집에서 버스정류장 또는 지하철역까지 걸은 걸음과 환승, 마지막 역을 나와 회사까지 걸은 걸음수를 만보계처럼 카운트하여 걸은 만큼 자체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한 뒤 산출된 마일리지를 페이백해주는 것이다.

제로페이 알뜰교통카드 사용방법

먼저 티머니페이 앱에 다음과 같이 “Zero Pay x 알뜰교통카드”를 발급받고 계좌를 연결해 선불 충전을 한다. 자세한 방법은 이전에 올린 포스트를 참고하면 된다.

당연히 제로페이 결제카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버스나 지하철을 탈 때 제로페이 알뜰교통카드를 주 사용카드로 지정해 놓고 승하차 시 결제하면 된다. 단, 대중교통을 이용하러 가기 전 집에서 출발할 때 또는 회사에서 집으로 출발할 때 다음과 같이 “제로페이알뜰교통카드”앱을 실행하고 “출발하기” 버튼을 눌러줘야 한다.

광역알뜰교통카드
광역알뜰교통카드 “출발하기”

화면 상단의 “현재 마일리지”가 0 인것은 아직 한번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단 집에서 출발하면서 “출발하기”버튼을 누르고 앱을 숨겨둔다. 다만 ” < ” 버튼을 누르고 앱을 종료하면 안된다. ” O ” 버튼을 눌러 숨기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스마트폰의 알림창에 마일리지가 적립되고 있음이 표시된다. 실제로는 만보기처럼 걸음수를 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광역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중
광역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중

그리고 부지런히 걷고, 버스를 타고, 지하철로 환승하고 목적지로 가면 된다. 그리고 목적지에 도착하면 다시 광역알뜰교통카드 앱을 실행해 다음과 같이 표시되는 “도착” 버튼을 누르면 된다.

광역알뜰교통카드앱
광역알뜰교통카드앱 “도착”

그리고 “현재 마일리지” 우측의 ” > ” 버튼을 눌러 적립된 마일리지 내역으로 이동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적립을 위해 대기중인 이동 내역이 보인다.

적립 대기중인 마일리지 내역
적립 대기중인 마일리지 내역

아마도 이 내역은 “출발하기” 버튼을 누르고 다시 “도착” 버튼을 누를 때까지의 걸음수와 대략적인 이동경로(일부는 GPS를 사용하여 위치파악)를 저장하고 있으면서 해당 구간의 대중교통 이용내역을 교통카드사로부터 받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화면에도 보이 듯 교통카드사로부터 대중교통 이용내역을 받아 검증을 한 뒤 실제 마일리지가 적립된다.

몇일 뒤… 1700 마일리지가 적립되었다.

알뜰교통카드 - 적립된 마일리지
알뜰교통카드 – 적립된 마일리지

이 시점은 딱~ 5일 (월요일~금요일)까지 적립한 마일리지 중 3일 분의 마일리지가 지급된 것이다. 세부 내역을 보기 위해 ” > ” 버튼을 눌러 적립 마일리지 현황을 확인해보자.

그런데… 11일 오전에 “출발하기”는 제대로 눌렀지만 “도착”을 사무실 도착 후 30분쯤 지나서 눌렀는데 적립 내역에 기록이 되어 있지 않다. 이것이 오류인지..아니면 부정행위(?)로 간주되어 적립이 되지 않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정확하게 “출발하기”와 “도착”을 눌러줘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12월 7일의 적립 내역은 보이지 않지만 12월 8일과 동일한 구간으로 움직여서 동일하게 250마일 씩 2회가 더 적립되어 있다.

그리고 12월 9일의 경우엔… 집에서 지하철역까지 걸어가지 않고 버스를 타고 지하철역에서 내려 환승을 했는데 마일리지는 더 적립되어 있다. 마일리지 적립 기준을 모르니 뭐라 말하기는 어렵겠다.

어쨌든 3일치의 마일리지가 1700마일이 적립되어 있다.

티머니페이에 등록된 제로페이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해 적립한 마일리지는 T머니포인트로 티머니페이 앱에 적립된다.  적립율도 다른 교통카드와는 차원이 다르다. 하지만 아래 화면에 써있듯 10% 캐시백은 제로페이 QR결제를 통해 10만원 이상 적립하여야 받을 수 있는 것 같다.

일반 결제시에는 제로페이를 사용하지 않는 나로서는 기대할 수 없는 것 같다.

티머니 제로페이x광역알뜰교통카드(모바일페이) 적립율
티머니 제로페이x광역알뜰교통카드(모바일페이) 적립율

걷는 걸음에 비례해 적립되는 마일리지 적립만 페이백 받는 나로서는 한달이 지난 다음 과연 얼마가 적립될지 궁금해진다~ ^^

첫 티머니포인트 페이백을 받고 나서 그 결과를 첨부해보겠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