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및 HW 기반의 솔루션 기술지원업무(프로젝트)에서 사업의 분류는 [고객사 – 프로젝트]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엔지니어는 이 프로젝트 기반으로 기술지원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SW 및 HW 기반 솔루션은 하나의 고객사에 매우 여러번 판매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고객사에 구별되는 여러개의 프로젝트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먼저 [고객사]를 등록하고 해당 고객사에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등록해 별도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고개사는 “공공”, “민수” 등과 같은 분류 혹은 “제조”, “금융” 등 산업구분 등 편한 분류로 구분할 수도 있다. 고객사에는 특별한 정보는 담기지 않는데 기업 및 조직명을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련번호는 DB내에서 고객사를 구별하는 식별자이다. 이는 프로젝트 등록 시 고객사를 식별하는 식별자(Unique Key)로 사용된다.
아래는 고객사 등록화면… 고객사 분류와 고객사명만 입력된다.
다음은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는 고객사 하위에 등록되며 1:N의 관계에 있다.
“프로젝트 등록” 혹은 “수정”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신규 프로젝트를 등록하거나 기존의 프로젝트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아래는 기존에 등록된 프로젝트를 수정하는 화면이다.
앞의 화면은 수정화면이기 때문에 고객사를 변경할 수 없지만 신규등록하는 프로젝트의 경우 다음과 같이 고객사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존재하고 버튼을 클릭하면 고객사 목록이 표시되어 선택할 수 있다.
프로젝트 유형은 납품되는 제품구분, 사업 유형 등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영업순위의 경우는 현재 수주가 확정된 사업인지 아니면 현재 영업중인 사업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이는 엔지니어가 현재 수주된 사업은 아니지만 영업이 진행되는 사업에서 제안서 작성, 기술자료 작성, BMT, 사전 미팅 등의 업무를 수행할 때 해당 프로젝트의 업무 수행을 일정으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영업조직에서도 수주 가능성에 따라 순위를 정하고 영업이 진행되는 사업의 현황과 수주 가능성에 따른 예상 매출을 예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수주에 실패할 경우 추후 수주실패한 사업에 얼마나 많은 엔지니어가 투입되었는지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사업의 진행상태는 다음과 같이 구분되어 등록되고 수정될 수 있다.
프리세일즈는 앞의 영업순위에서 1,2,3 순위에 해당되는 프로젝트이다. 영업순위와 진행상태를 구분한 이유는 1순위 영업순위에서 수주된 사업과 2순위, 3순위로 등록되어 관리된 사업 중 실제 수주거나 실패한 사업을 통계를 통해 분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등록된 프로젝트는 뒤에서 소개할 “일정관리”, “이슈관리” 등에서 일정 및 이슈의 구분자로 사용된다.
다음은 기업(조직) 내부의 내부 업무에서 사용될 [업무]와 [단위업무]를 등록 및 관리하는 기능이다.
[업무]와 [단위업무]는 “일정관리”에서 [고객사]와 [프로젝트]와 각각 대응되는 요소다. [고객사]와 [프로젝트]는 매출과 직결되는 요소다. 하지만 [업무]와 [단위업무]는 매출과 직결되지는 않으나 기업이나 조직이 운영되는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요소이며 기존 매출의 유지관리와 새로운 매출을 창출하기 위한 업무로 볼 수 있다.
“업무(Job) 관리”는 [업무]를 등록할 수 있다.
업무 분류는 업무의 대분류 쯤으로 생각하면 되며 업무는 실제 수행하는 단위업무의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업무”는 [고객사] 등록과 같이 업무의 이름을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업무]가 등록되면 [업무] 하위의 [단위업무]를 등록할 수 있다. “단위업무(Task)관리는 업무의 최소 단위를 등록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 [단위업무]는 [프로젝트]와 같이 기한이 정해진 업무부터 영구적으로 사용될 세부업무를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개발하고 있는 제품(SW or HW)이 업무에 등록되고 해당 제품의 리뉴얼, 기능추가 등을 단위업무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업기획] 업무의 [2차인증 솔루션 기획(2020)], [마케팅] 업무의 [2020 SEC Forum] 단위업무 처럼 기한이 정해진 1회성 기획업무 등도 추가되어 임직원의 “일정관리”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단위업무] 등록시에도 상위 [업무]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등록된 [업무]와 [단위업무]를 기반으로 “일정관리”에서 업무 내용을 계획하고 업무 수행 결과를 등록하게되면 추후 해당 [업무] 및 [단위업무]에 투입된 시간의 통계를 산출해낼 수 있다.
다음은 [프로젝트]와 [단위업무]를 이용해 “일정관리”에서 [일정]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포스팅한다.
#프로젝트관리 #단위업무관리